SKC(대표 이완재)가 배터리 음극재‧양극재를 포함한 신소재 사업에 나선다.
SKC는 9월24일 SKC인베스터데이 행사에서 2025년까지 사업구조 전환을 통해 가치 30조원의 세계 1위 모빌리티 소재 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사업구조 전환으로 2025년 영업이익의 80% 이상을 모빌리티 소재에서 창출할 계획이며 배터리 소재를 가치 창출의 핵심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신 성장동력으로 안착한 동박 사업은 말레이지아 5만톤, 유럽 10만톤, 미국 5만톤 등 적극적인 해외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을 총 25만톤으로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점유율 35% 이상의 압도적 1위로 도약할 방침이다.
실리콘(Silicone) 음극재, 하이니켈 양극재 등 2차전지용 신규소재 사업에도 진출한다.
이완재 SKC 사장은 “글로벌 선두의 실리콘 생산기업과 협력해 음극재 기술을 확보하고 핵심사업으로 키워갈 것”이라며 “양극재도 글로벌기업과 협력해 사업화를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2025년 2차전지 소재 사업 매출을 현재의 10배인 4조원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빌리티 소재의 양대 축인 반도체 소재 사업은 새로운 하이테크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기존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패드, 블랭크마스크 사업을 본격화하고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하이퍼포먼스 컴퓨팅용 글라스 기판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함으로써 반도체 소재 사업 매출을 2025년까지 2조원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반도체 패키지에 플래스틱 대신 글라스 기판을 적용하면 패키지 두께와 전력 사용량이 절반 이상 줄고 데이터 처리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 필요 면적이 기존의 20%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밖에 친환경 소재 사업도 확장하며 기존 필름, 화학 사업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중심으로 개선한다.
SKC는 2025년까지 경영목표 달성에 필요한 재원을 합작투자, 정책 금융 등 전략적 파이낸싱과 내부 현금 창출 확대 등 자체 조달로 조달할 계획이다. 재무안정성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주주이익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파악된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