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신동빈‧김교현‧이영준‧황진구)이 수소 펀드에 1억유로를 투자한다.
롯데케미칼은 글로벌 수소산업 가속화에 대비해 선진기술을 선점하고 인프라 구축을 진행하기 위해 클린 수소 인프라 펀드(Clean H2 Infrastructure Fund)에 1억유로(약 1400억원)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클린 수소 인프라 펀드는 2017년 다보스포럼에서 발족한 수소 경제 관련 글로벌 기업협의체인 Hydrogen Council의 공동 의장사인 에어리퀴드(Air Liquide)와 토탈(Total)이 공동으로 조성한 글로벌 수소 투자 펀드이며 수소 저장, 유통 인프라 및 수소 자동차 활용과 신재생에너지를 연계한 수소 생산 프로젝트 등에 총 2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은 핵심 투자기업 8사 가운데 하나이며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설립 초기부터 함께 하고 있다.
글로벌 수소 기술 동향 파악과 함께 신규투자 기회 모색 및 국내 수소산업의 발전을 이끌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21년 7월 탄소중립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는 내용의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을 발표한 바 있다.
△청정수소 생산 △수소 활용 사업 △수소 사업 기술 발전을 주도한다는 계획 아래 다양한 글로벌기업과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204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글로벌기업들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그룹 계열사들의 수소 역량 강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롯데그룹 계열사들은 환경과 사회에 기반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토대로 국내 수소산업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