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수돗물 가격 OECD 중 최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중 우리나라 국민이 수돗물을 가장 싼 값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 국민소득을 감안한 우리나라 국민의 수돗물 소비량은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가 작성한 `OECD 국가 물자원 이용현황 비교' 자료에 따르면, 199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의 수돗물 가격은 톤당 0.34달러로 체코 0.68달러와 캐나다 0.7달러, 이태리 0.84달러 등을 제치고 OECD 22개국 가운데 가장 싼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 가격이 가장 비싼 나라는 덴마크의 3.18달러로 우리나라의 10배에 육박했고 다음은 스 위스 3.16달러, 영국과 프랑스 각각 3.11달러, 핀란드 2.76달러, 스웨덴 2.60달러 순이다. 또 국민소득을 감안한 수돗물 소비량은 우리나라가 1000달러당 43.1리터로 세계 최고수준을 기 록했으며 다음은 오스트레일리아 23.1리터와 미국 24.6리터, 영국 22.2리터, 일본 11.4리터, 프랑스 8.3리터 등이다. 사용가능한 전체 수자원에서 실제 취수하는 비율은 우리나라가 35.6%로 벨기에 42.5%와 스페인 36.8%에 이어 OECD 국가 중 3위를 기록해 합리적으로 따지면 우리나라의 수돗물 가격이 3번째 로 비싸야 정상이라는 분석이다. OECD 국가들의 수자원 대비 취수비율은 평균 15%를 밑돌았으며 네덜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 오 스트리아, 핀란드 등은 4%에도 못미치고 있다. 특히, 스웨덴은 전체 수자원 가운데 실제 사용하는 수량이 1.5%에 불과해 수자원은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데도 수돗물 가격은 톤당 2.6달러로 OECD 국가 중 6번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연간 강수량은 1274㎜로 세계 평균 973㎜의 1.3배에 이르지만 1인당 강수량은 연간 2755톤으로 세계 평균 2만2096톤의 8분의 1에 불과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사용 가능한 수자원은 1999년 기준으로 1517톤이며, 국제연합(UN)은 19 93년 우리나라를 `물부족 국가'로 분류한 바 있다. 환경부는 국민 1인당 연간 사용 가능한 물의 양이 1000톤 미만인 국가는 `물기근 국가'에 해당 되며, 앞으로 물 소비량이 줄어들지 않으면 물기근 국가로 전락할 수도 있어 물 절약을 생활화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정부는 공급 위주에서 수요관리 중심으로 수도정책을 전환하고 절수기 및 중수도의 설치 확대, 노후관 교체 등의 물절약 대책을 통해 2006년에는 연간 수돗물 생산량 58억4000만톤의 13.5%를 절약할 방침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2/01/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O-X, 한국 반짝했지만 아시아 부진에 흔들… | 2025-10-17 | ||
[농화학] 농약, 한국 시장 2조원대 성장 | 2025-10-14 | ||
[반도체소재] JX금속, 한국서 반도체 소재 확대 | 2025-09-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플래스틱 수출, 중국 중심 예측된 “지각변동” 한국, 직격탄 맞고 휘청거린다! | 2025-10-17 | ||
[무기화학/CA] 칼륨, 반덤핑에도 한국산 선호현상 염화칼륨은 캐나다산 안정화…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