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즈프리 특허 출원 급증추세
|
이동전화기용 주변장치 중 빼놓을 수 없는 핸즈프리키트 기술분야의 특허 출원이 1996년 이후 급증해 2001년 출원건수가 332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2년 6월말 기준 이동전화기 가입자수가 3090만명을 넘어섬으로써 이동전화기가 국민의 생활필수품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핸즈프리키트 기술분야의 특허 출원은 1996년까지 92건에 불과했으나 1997년 44건, 1998년 69건, 1999년 105건, 2000년 290건, 2001년 332건으로 매년 급증추세를 보이고 있다. 관련기업별 출원은 이동통신 관련기업인 삼성전자 35건, LG전자·통신 18건, 현대전자 16건, 자동차 생산기업인 대우자동차 5건, 기아자동차 5건, 현대자동차 3건 등으로 이동통신 및 자동차 생산기업에서 주로 출원하고 있으며 6건을 출원한 개인 발명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환경은 이동전화기 인터페이스와 핸즈프리간의 송수신 방식이 유선에서 무선으로 발전된 이후 최근에는 무선통신 프로토콜 기술을 적용한 무선방식이 주로 출원되고 있으며, 차량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초기에는 나사 등을 이용한 거치대(고정장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근래 들어서는 착탈이 간편하고 고정상태 또한 양호한 접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 자동차 제작시 차체에 붙박이로 설치한 핸즈프리, 카오디오 장치를 이용한 핸즈프리장치, 음성 인식기술을 통한 자동 다이얼링 방식 핸즈프리, 하울링 제거기술 등 사용이 보다 편리하고 통화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출원되고 있다. 한편, 핸즈프리키트는 차량에 설치돼 운전자가 이동전화기를 직접 손에 들지 않고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로 안전운전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핸즈프리에 대한 수요가 자연발생적으로 증가하게 됐으며, 특히 2001년『운전중 휴대용전화 사용 금지법』의 제정으로 핸즈프리키트가 차량의 필수부품이 되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1년 초까지도 40여개에 불과하던 핸즈프리 제조기업이 2001년 『운전중 휴대용 전화 사용 금지법』의 제정으로 핸즈프리키트 시장이 황금시장으로 부상하면서 90여개가 신규로 가세함에 따라 생산기업도 130여개로 급증했다. 표, 그래프: | 핸즈프리 특허 출원현황 | 핸즈프리 특허 출원기업 비교 | <Chemical Daily News 2002/10/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기술/특허] SK, 반도체·화학특허 중소·중견기업 무상 이전 | 2025-10-14 | ||
| [배터리] 삼성SDI, 글로벌 배터리 특허 “1위” | 2025-09-29 | ||
| [금속화학/실리콘] SK넥실리스, 특허 침해소송 확대 | 2025-08-29 | ||
| [배터리] LG에너지, 배터리 특허 “승소” | 2025-07-28 | ||
| [배터리] LG에너지, 중국과 특허전 “3연승” | 2025-07-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