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용 패널 시장이 격변기를 맞이하고 있다. 2002년 6월3일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이 입법 예고된 후 9월27일 규제개혁위원회에서 개정안 통과를 보류하면서 건축용 패널 시장이 시끄러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가 2001년 8월 건축물용 내장재 및 내부마감재료로 사용되는 복합패널(일명 샌드위치패널)을 한국산업규격(KS)에서 규정하는 불연성능시험 결과에 따라 기준에 적합할 때 한해 불연재료로 인정해 사용하도록 지침을 내린 이후 건축용 패널 사태가 시작됐다. 1996년 2월 건축물 자재의 외부마감(표면재료)이 Steel 등 불연재료로 돼 있다면 성능확인을 거치지 않고도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로 샌드위치(Steel/EPS/Steel) 구조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고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으나 2001년 번복하면서 사태가 벌어졌다. 규제개혁위원회에서도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중 불연재료 등의 「지정기준 강화건」에 대해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공장에 대한 불연재료 사용을 제외하는 문제(시행령 개정사항)에 대한 용역을 건설기술연구원에 준 상태로, 2002년 말 보고서가 완료된 후 최종 결정될 전망이다. 따라서 실행이 예상되는 2003년 상반기에는 본격적으로 시장에 영향력을 나타낼 것으로 보이고, 현재 보류중인 상태에서도 서서히 영향을 주고 있다.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의 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은 건축물의 대형화와 고층화로 건축자재가 다양화돼 화재 발생시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피난·방화 기준을 강화하는 등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미비점을 개선·보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축용 패널은 칼라강판 사이에 단열소재를 넣어 제조하는데 샌드위치패널에 사용되는 단열소재는 EPS(Expandable Polystyrene), PU(Polyurethane), Glass Wool, Mineral Wool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대부분 EPS가 사용되고 있다. 표, 그래프 | 샌드위치패널 시장현황(2001) | 샌드위치패널용 Glass Wool Board 생산능력 | 불연·준불연·난연재료의 개념 | 샌드위치패널 생산기업수 | 건축물의 내부마감재료의 기준 | 샌드위치패널 구조의 주요 관련사고 | 샌드위치패널 관련규제 진행현황 | EPS 수요비중 변화 | EPS 시장점유율(2002) | EPS 수급동향 | PPG 수요동향 | 국내 칼라강판 판매현황(2001) | 연소가스 분석 결과 | <화학저널 2002/1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패널 리사이클 “의무화” | 2024-10-30 | ||
[전자소재] 편광판, 대형 패널이 성장 견인 | 2024-10-02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태양광 패널 재활용 협력 | 2024-09-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PVC 페이스트, 자동차‧건축용 수요 증가 수익성 개선까지 기대한다! | 2025-10-17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리사이클, 패널 폐기량 증가 대응 재활용 기술 확립 “시급” | 2024-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