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항바이러스 촉진 단백질 규명!
|
울산대 이현우 교수, 종양·만성바이러스 질환 치료 가능성 제시 인체의 면역반응에 관계하는 T세포가 항암·항바이러스 작용을 촉진하는 과정이 규명돼 종양 및 만성바이러스 질환의 치료 가능성이 새로이 제시됐다.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울산대학교 면역제어연구센터 이현우 교수가 공동자극단백질 4-1BB 자극에 의한 면역관련 T세포(세포매개면역림프구)의 항암·항바이러스 작용 촉진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현우 교수는 소속 연구센터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된 공동작업자극에 의한 항암 및 항바이러스성 세포매개면역림프구의 활성증진과 분자면역학적 기전을 연구한 결과, 4-1BB 공동자극단백질이 특이적 신호전달 과정을 통해 세포주기 진행을 증가시켜 많은 양의 림프구 형성을 촉진시키고 동시에 생존을 증진시킨다고 밝혔다. 또 4-1BB 공동자극의 살해 T세포에 대한 작용이 특정 항원의 작동 및 기억 세포매개면역림프구로 분화를 촉진시켜 바이러스 감염세포 및 종양세포를 강력하게 파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T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면역반응은 2개의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이중 4-1BB가 각종 암치료, 자가면역증치료 및 만성감염성질환에 강력한 효과를 보이는 물질로 알려져 왔다. 4-1BB를 자극하면 항암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4-1BB를 차단하면 자가면역증 치료효과가 나타난다. 4-1BB 신호전달 연구는 1999년 과학재단 지정 우수연구센터로 지원을 받아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이며 2002년 11월 미국 면역학회에서 발간하는 세계적 면역학술지 <Journal of Immunology>에 발표해 순수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가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됐다. 이현우 교수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세포매개면역림프구 수용체, 공동자극수용체 자극에 의한 작동 및 기억 세포매개면역림프구 분화의 신호전달 연구를 주도해 4-1BB에 의한 암 치료 및 백신효과 증진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hemical Daily News 2002/12/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리사이클] PET, 재활용 촉진 아이디어 “만발” | 2025-10-16 | ||
| [배터리] 배터리, 재생원료 사용 촉진 | 2025-05-14 | ||
| [EP/컴파운딩] CFRP, 똘똘 뭉쳐 리사이클 촉진 | 2024-06-20 | ||
| [첨가제] PP, 결정화 촉진으로 생산성 향상 | 2022-09-20 | ||
| [나노소재] CNF, 공업용 활용 촉진을 위해… | 2020-07-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