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약산업 M&A 생존책 강구
일본 제약산업이 계속된 대형 구조조정, 2002년 4월의 가격인하, 7월의 약사법 개정으로 일대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의약품 원료 생산기업들도 마찬가지로 원료 메이커를 둘러싼 환경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주목하고 있다. 세계 제약 시장에서는 대형 M&A·제휴가 연이어 구체화되고 있는데, Pfizer와 Pharmacia의 합병 발표로 국제시장의 합종연횡은 규모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Roche와 中外製藥, 第一製藥과 Suntory, 大正製藥과 富山化學의 제휴 등 수많은 M&A가 전개되고 있다. 제약기업의 M&A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은 연구개발 코스트 증대 때문으로 독자적으로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거액의 연구비와 오랜 연구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게놈시대를 맞이하면서 연구개발 코스트가 더욱 상승하고 있다. 표, 그래프 | 일본 제약기업의 합종연횡 | <화학저널 2003/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파인세라믹] 세라믹, 일본과 공동 연구개발 추진 | 2025-10-16 | ||
[산업용가스] 효성, 일본 NF3 생산재개 주시 | 2025-10-15 | ||
[퍼스널케어] 로가, 일본에 식물성 콜라겐 수출 | 2025-10-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수처리약품, 일본, PFAS 규제 기대 코스트 상승으로 무산… | 2025-10-17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