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1160원 이하 수출 못한다!
|
무역협회, 수출기업 37% 환경악화 예상 … 전기전자· 자동차 호전 국내 무역업계의 37%가 2003년 수출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전자·자동차 분야보다는 경공업이,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이 더 비관적인 것으로 조사됐다.한국무역협회가 2003년 1월20일부터 2월6일까지 790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출업계 정책수요 조사>에 따르면 36.8%가 수출전망이 악화될 것이라고 대답했으며, <호전>은 32.6%, <불변>은 30.6%로 각각 나타났다. 섬유기업의 57.3%가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고 호전될 것이란 응답은 13.6%에 그친 것을 비롯해 경공업과 농림수산업은 악화전망이 우세했다. 반면, 전기·전자에서는 호전 전망이 41.6%, 악화 전망은 26.9%였으며, 기계·자동차도 호전 전망이 36.7%로 악화 전망 32.0%보다 많았다. 또 대기업은 악화 53.1%, 호전 10.9%로 부정적인 전망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중소기업은 호전(34.6%)과 악화(35.3%) 전망이 비슷했다. 수출환경 악화 요인으로는 원화환율 하락 45.1%, 중국 부상 32.2%, 미국-이라크 전쟁 위기 등에 따른 유가상승 18.3%, 통상마찰 심화 4.4% 등으로 꼽혔으며, 특히 섬유 및 전기·전자업계는 각각 45.8%와 37.7%가 중국 부상을 악화 요인으로 들었다. 수출업계는 이라크 사태와 북핵문제 등이 장기화되면 이에 대한 조치로 유동성 확보(44.9%), 투자축소(23.2%), 생산거점 해외 이전(12.6%)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수출기업들은 1216원을 적정 환율이라고 응답했으며, 환율이 1160원대로 떨어지면 전체의 17.5%가 수출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외국인 노동자 고용문제와 관련해서는 조사대상의 48.2%가 고용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응답했으며, 중소기업에서도 확대 불가피 의견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무역환경을 개선을 위한 새 정부 과제로는 각종 규제 및 절차 개선(21.1%), 해외마케팅 지원(19.8%), 물류체계 개선(12.4%), R&D 확대여건 조성(7.2%) 등이 꼽혔다. 한편, 동북아 경제 중심국가 실현 전망에 대해서는 94.2%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답했으나, 중국 등으로 인해 성과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도 46.7%에 달했다. <Chemical Journal 2003/02/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2 | ||
| [석유화학] LDPE, 인디아 관세‧환율 악재에… | 2025-09-08 | ||
| [화학경영] 삼화페인트, 고환율 영향 적자전환 | 2025-05-16 | ||
| [석유화학] LDPE, 환율‧관세에 떨어진다! | 2025-04-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