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입선 다변화로 한국 급속후퇴! 중국의 범용 합성수지 수입량이 해마다 큰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 범용수지는 오히려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중국 수입통계에 따르면, 2002년 중국의 범용수지 수입량은 전년대비 8.0% 증가한 1211만2233톤으로 나타났다. 2001년에 비해 LDPE(Low-Density Polyethylene)는 2.0% 증가한 242만5336톤, HDPE(High-Density Polyethylene)는 무려 24.0% 증가한 213만4064톤, PP(Polypropylene)는 17.0% 증가해 244만2326톤으로 단일품목 중 최대 수입량을 나타냈고, EPS(Expansible Polystyrene)는 3.0% 증가한 17만4439톤, PS(Polystyrene)는 6.0% 증가한 145만3086톤, SAN(Styrene Acrilonitrile)은 무려 21.0% 증가한 14만4772톤, ABS(Acrilonitrile Butadiene Styrene)는 15.0% 증가한 163만7647톤, PVC(Polyvinyl Chloride)도 8.0% 증가해 170만563톤에 달했다. 반면, 전체 한국산 범용수지의 중국 수입량은 해마다 감소해 2002년에는 전년대비 2.1% 감소한 273만6469톤에 불과했다. 한국산 합성수지의 중국수출이 대부분 감소하고 있는 반면, SAN과 ABS는 전년대비 각각 30.3%, 23.6% 증가한 4만9855톤, 50만3807톤을 기록해 그나마 신장을 지속하고 있는 상태이다. 표, 그래프 | 국내 LDPE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 | 중국의 LDPE 수입동향 | 국내 HDPE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 | 중국의 HDPE 수입동향 | 국내 PP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 | 중국의 PP 수입동향 | 국내 EPS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 | 중국의 EPS 수입동향 | 국내 PS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 | 중국의 PS 수입동향 | 국내 SAN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2002) | 중국의 SAN 수입동향 | 중국의 ABS 수입동향 | 국내 ABS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2002) | 국내 PVC 생산능력 및 시장점유율 | 중국의 PVC 수입동향 | <화학저널 2003/5/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컴파운드 일원화한다! | 2025-10-13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합성수지 침체 심각 | 2025-02-04 | ||
| [폴리머] 합성수지, 수입 규제에서 제외했다! | 2024-04-29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폴리머] 합성수지, 중국 수출이 수입 앞섰다! | 2025-04-25 | ||
| [화학무역] 합성수지, 인도네시아 수출 “혼란” | 2023-03-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