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건축자재 쓰면 시공비 상승
|
상의, 평방 분양가 16만원 올라 … 생산단가 상승에 매출감소 우려 건설 및 건축자재 생산기업들이 새집증후군 예방을 위해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할 때 평당 분양가가 16만원 가량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대한상공회의소가 건설ㆍ건축자재 생산기업 222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새집증후군 관련 산업계 대응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건축자재 및 건설회사들이 생산단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으며, 친환경 자재 공급 활성화를 위한 정책당국의 지원과 인증제도에 대한 신뢰도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건설회사들 가운데 친환경 건축자재로 시공할 때 예상되는 평당 분양가 상승폭에 대해 <10만-20만원>이라고 응답한 곳이 36.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5만-10만원>이 32.5%, <20만-30만원>으로 보고 있는 곳이13.3%, <30만원 이상>이 1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응답을 가중평균하면 평당 16만원으로 30평형을 기준으로 할 때 약 480만원의 상승 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건축자재 생산기업들도 생산단가가 20% 이상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34.3%로 가장 많았으며 10-20% 인상이 29.4%, 5-10% 인상이 10.8% 등으로 뒤를 이었다. 건설회사들은 5월30일부터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규제하는 <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이 시행되는 것과 관련해 ▷분양가 상승에 따른 어려움(26.2%) ▷친환경 건축자재 수급 문제(19.0%) ▷측정치 신뢰성 문제(15.6%) 등을 가장 우려했으며 건축자 생산기업들은 ▷생산단가 상승(33.7%) ▷판매가격 상승으로 인한 매출 감소(19.3%) ▷친환경건축자재 인증비용 상승(10.4%) 등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공회의소 산업환경팀 전무 팀장은 “새집증후군 예방이야말로 환경을 살리고 관련산업도 육성하는 이른바 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위한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생산 조건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설비자금 및 기술개발 지원 등 대응 여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화학저널 2004/04/30>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우석이엔씨, 혼합 플래스틱도 친환경화 | 2025-10-24 | ||
| [에너지정책] 금호석유화학, RSM으로 SSBR 친환경화 | 2025-10-23 | ||
| [폴리머] 복합소재, 친환경제품 공급 본격화 | 2025-10-22 | ||
| [금속화학/실리콘] 케미탈, 친환경 동박 표면 후처리 기술 개발 | 2025-10-1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라벨, PET 라이너 전환으로 친환경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