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A, PFOA 발암 가능성 “상당”
|
동물실험에서 암ㆍ면역장애 유발 … DuPont은 여전히 무해성 주장 PFOA가 동물실험에서 암, 면역장애 등을 유발하고 인체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수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환경청(EPA)이 발표한 PFOA(Perfluoroctanoic Acid) 위험성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아직 PFOA에 대한 인체노출과 관련한 위험성을 단정지을 수 없지만 PFOA의 유해성을 무시할 수 없다. EPA는 과학자문위원회에 PFOA 위험성 평가 보고서에 대한 검토 및 자문을 구한 상태이다. C-8로도 알려진 PFOA는 DuPont이 생산하고 있는 Teflon인 Polytetrafluoroethylene 및 기타 Fluoropolymer 제품을 비롯해 자동차 연료시스템, 컴퓨터 칩 가공장비 등에 사용되고 있다. DuPont에 따르면, 지금까지 PFOA의 인체 유해성에 관한 사실이 보고된 바 없으나 DuPont은 혈액 내에 잔존해 있는 PFOA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과거 5년 동안 미국 사업체에서 발생하는 PFOA 배출량을 약 98% 감축하고 PFOA를 포획하고 재생 또는 파괴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세계 PFOA 배출량은 약 90% 감소했다. 그러나 미국 환경실무그룹(EWG)은 EPA가 PFOA의 인체유해 가능성을 간과함으로써 EWG의 과학적 기준에 따르지 않았다며 비난하고 있다. 웨스트버지니아주 Parkersburg 플랜트 부근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DuPont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신청했으며 법원은 DuPont에게 1억2800만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차후 PFOA와 징병과의 관련성이 입증되면 추가로 2억8500만달러 이상의 의학적 감시비용을 부담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DuPont 역시 Washington Works 플랜트 직원 1000여명을 대상으로 한 PFOA 인체 유해성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PFOA가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DuPont의 보고서에 따르면, PFOA와 간 기능, 혈구 또는 암 표지는 상관성이 없으며 산업적 환경에서만 PFOA가 콜레스테롤 수치를 약 10%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반 환경에서는 인체 유해성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EWG는 DuPont의 보고서 뿐만 아니라 동물실험 결과로 볼 때 PFOA의 인체유해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EPA는 Asahi Glass Clairant, Dailin America, DuPont, Dyneon, 3M 등 Fluoropolymer 생산기업들과 PFOA 모니터링에 관한 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모니터링 결과는 올해 초부터 분기바다 제출될 예정이다. EPA와 Flouoropolymer 산업계는 개별적으로 Telomer 생물분해(Biodegradation) 실험을 시행해 Telomer 제품이 분해돼 PFOA를 생성하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한편, 투자연구기관인 Innovest Strategic Value Advisors는 최근 PFOA 사건을 바탕으로 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상해 PFOA의 재정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여전히 법적 분쟁의 확산 가능성이 있으며 DuPont의 PFOA 문제 처리방식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보고 DuPont의 신용등급을 2002년 AAA에서 2005년 BB로 하향조정했다. <화학저널 2005/04/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올레핀] PFTE, PFOA 퇴출 기대로… | 2021-01-08 | ||
| [환경] 듀폰, PFOA 국내시장 전면 퇴출 | 2020-08-04 | ||
| [화학무역] 화학산업, EU-일본 EPA “타격” | 2017-07-0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무기화학/CA] 불소수지, PFOA 규제 “본격화” | 2016-09-09 | ||
| [환경] PFOS/PFOA 규제 | 2008-11-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