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5년 호경기에 따라 석유화학기업들이 폴리올레핀 및 폴리스티렌 등 폴리머 생산능력을 크게 확장했으나, 96년 실적 및 97년 전망은 불투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96년 PE 및 폴리스티렌 생산 및 수요는 전반적으로 95년대비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97년에는 생산능력 확대에 따라 공급량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에 반해, 수요증가율은 96년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97년 폴리머 생산능력은 LDPE 74만6000톤, LLDPE 64만8000톤, HDPE 161만8000톤, PP 218만5000톤, PVC 144만5000톤, PS 110만5000톤, ABS 62만톤 등으로 크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97년 수요는 LDPE(LLDPE 포함) 74만톤, HDPE 74만7000톤, PP 87만2000톤, PVC 91만5000톤, PS 55만4000톤, ABS 26만8000톤 등으로 LDPE 53.1%, HDPE 46.2%, PP 39.9%, PVC 63.4%, PS 50.1%, ABS 43.2%의 과잉률을 보일 전망이다. 따라서 97년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가격은 96년에 이어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LDPE·HDPE·PP·PVC·PS·ABS 등 6대 폴리머의 평균가격은 FOB Korea기준 90년 톤당 1164달러, 91년 1203달러, 92년 985달러, 93년 904달러, 94년 1012달러, 95년 1199달러, 96년 996달러를 보였다. 6대 폴리머 가격은 93년 904달러로 최저가격을 보인 이후 97년에도 907달러로 비슷한 최저가격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 그래프: | Polymer 생산 및 수급동향 | Polymer 평균 가격동향 | LLDPE 신증설 현황 | LDPE 신증설 현황 | LDPE 가격동향 | LDPE 생산 및 수급동향 | HDPE 가격동향 | HDPE 신증설 현황 | HDPE 생산 및 수급동향 | PP 신증설 현황 | PP(HOMO) 가격동향 | PP 생산 및 수급동향 | PVC 가격동향 | PVC 신증설 현황 | PVC 생산 및 수급동향 | PS 신증설 현황 | PS 가격동향 | PS 생산 및 수급동향 | ABS 가격동향 | ABS 신증설 현황 | ABS 생산 및 수급동향 | <화학저널 1997/2/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무역] 화학무역, 인디아 시장 개척 총력전 | 2025-10-17 | ||
[농화학] 농약, 한국 시장 2조원대 성장 | 2025-10-14 | ||
[에너지정책] GS칼텍스, 데이터센터 냉각시장 선도한다! | 2025-10-14 | ||
[점/접착제] 접착제, 인디아 자동차 시장 조준 | 2025-10-13 | ||
[폴리머] 합성수지, 컴파운드 일원화한다! | 202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