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제, 고기능화에 중점
|
일본, Sun Screen 제품 다양화 … 소재개발로 극심한 경쟁 탈피 Sun Screen에 무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한 제품이 다양해지고 있다.TiO2(Titanium Dioxide)를 베이스로 한 후 활성산소(Free Radical) 포착능력을 추가하거나 자외선에 의한 표면활성을 대폭 억제하는 등 기존에는 없던 기능을 부여한 제품이 두드러지고 있다. 일본의 화장품 시장은 이미 성숙단계에 돌입했으나 Sun Screen제품은 2자리대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기능성을 전면으로 내세운 자외선 차단 신규소재가 잇따라 공급되고 있는 것도 꾸준히 성장하는 시장에 대응한 화장품 재료 생산기업들의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TiO2는 예전부터 Sun Screen 제품에 사용됐는데, 주로 B급 자외선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배합되고 있고, 여기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제품이 잇따라 개발되고 있다. Croda Japan이 시장을 개척한 Optisol은 Rutile형 TiO2 구조에 망간이온을 결합한 신규 무기계 Sun Screen제품 원료이다. 망간의 함유량은 0.67%로 입자경은 60nm이며, Croda Japan 최초의 Sun Screen제품 원료가 된다. Optisol은 활성산소 포착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Croda Japan은 다양한 TiO2와 Optisol의 활성산소 발생을 전자스핀 공진장치로 추정하기 위해 1,1-diphenyl-2-picrylhydrizine의 포착을 베이스로 항산화 기능을 조사한 DPPH 공법을 모두 실시해 포착능력을 확인하고 있다. 한편, 베이지색의 초미세입자이면서 하얗게 뜨지 않는 특성도 요구되고 있다. DSM Nutrition Japan은 초미세입자 TiO2를 판매하고 있으며, TiO2를 실리카 등으로 코팅한 제품으로 평균 입경이 17-22nm, 표면적은 g당 약 54평방mm이다. DSM Nutrition은 TiO2의 표면을 코팅하는 기술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TiO2의 표면활성을 대폭 억제함으로써 피부상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지성분의 과산화 촉진을 방지하고자 하며, 일반 미세입자 TiO2에 비해 투명성이 높기 때문에 하얗게 뜨기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다. TiO2 분산체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하는 Unikema는 Croda International이 인수함에 따라 Croda Japan의 Sun Screen 원료 제품군을 확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Unikema는 입도분포와 자외선의 방어효과를 측정하고, 최적의 SPF 효과와 투명성을 유지하는 입자 크기를 연구하고 다양한 TiO2 분해체를 개발ㆍ판매해 Croda에 있어 인수효과를 톡톡히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화학저널 2006/10/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퍼스널케어] 바스프·콜마, 자외선 차단제 원료 공동개발 | 2025-10-22 | ||
| [전자소재] LED, 심자외선 활용 기대… | 2023-04-26 | ||
| [전자소재] LED, 심자외선으로 의료 분야 개척 | 2021-12-24 | ||
| [전자소재] 원자외선, 코로나19 살균성 기대… | 2021-11-10 | ||
| [반도체소재] 심자외선, 코로나19 감염 예방 | 2021-03-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