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공기전지, 에너지밀도 최대로
전기연구원, kg당 최대 395Mh 개발 … 무기체계·민수용으로 응용
화학뉴스 2014.02.25
리튬전지보다 용량은 2배에 달하면서 제조단가는 1/10 수준인 차세대 전지가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원장 김호용) 전지연구센터 엄승옥 박사팀은 kg당 최대 395Mh로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밀도를 보유한 아연금속공기전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월24일 발표했다. ![]() 차세대 전지로 불리는 아연 공기전기는 이스라엘, 중국 등에서 개발된 금속공기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40% 이상, 리튬이온전지보다는 2배가량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개발 전지는 기존 전지와 달리 폭발 위험성이 덜하고 공기와 아연금속만을 재료로 활용해 친환경적이며 풍부한 금속자원 가운데 하나인 아연을 활용해 전지 제작단가를 리튬전지의 1/10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연구원은 개발된 아연공기전지의 고에너지 밀도 특성을 살려 무인정찰기, 초소형 무인항공기, 개별병사의 운용 전원 등 장시간 사용이 요구되는 다양한 무기체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폭발과 화재 위험이 없어 병사의 군복에 부착하는 입을 수 있는 전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안전과 사용시간이 중요한 민간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은 앞으로 군용무기체계 적용을 위한 연구와 민수용으로 응용할 수 있게 하는 후속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한편, 전기연구원은 일본 야노(Yano) 경제연구소의 분석을 인용해 금속공기전지의 세계 시장규모가 2012년 약 2500억원에서 2025년 5375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4/02/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KAIST, 아연공기전지로 수소 생산 | 2024-10-22 | ||
[배터리] LFP, 3원계 에너지밀도 따라잡는다! | 2024-05-16 | ||
[배터리] 아연공기전지, 차세대 배터리 부상 | 2024-05-03 | ||
[배터리] LiB, 최고 에너지밀도 구현 추진 | 2023-08-29 | ||
[배터리] 아연공기전지, LiB 대체 기대…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