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규제 강화로 일시재편 움직임 … 공장이전 및 해외거점 추진
화학뉴스 2014.12.02
구연산(Citric Acid)은 주요산지인 중국에서 추진되고 있던 현지 생산기업의 재편움직임이 둔화되고 있다.
거듭된 증설로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해당기업들이 시장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했으나 공장 이전 등을 추진하면서 공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타이에 신공장을 건설해 공급능력을 더욱 확대하는 곳도 생겨나는 등 일부 일본기업들이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가격인상 교섭도 진척되지 않아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일본에 유통되는 구연산은 중국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글로벌 수요가 정체되고 있는 가운데 생산능력 40만톤에 달하는 Weifang Ensign을 비롯해 TTCA 등 현지 생산기업이 잇따라 증설함에 따라 세계적인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환경규제를 강화하면서 일부공장에 대해 강제 퇴거를 명령한 것을 계기로 일부기업이 채산성악화로 사업에서 철수하는 등 재편 움직임이 가속화됐다. 최근에는 RZBC 등 현지기업들이 강제퇴거 이전에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BBCA는 타피오카 등의 원료를 싼값에 조달할 수 있는 점을 바탕으로 타이에 생산능력 6만톤 공장을 신설하는 등 공급능력을 더욱 확대하고 있다. 2008년 유럽과 미국의 반덤핑 관세 대상으로 지정된 중국기업들이 감산함에 따라 수급밸런스가 유지되고 있지만 업계 전체가 공급과잉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전환함에 따라 재편이 재개될 가능성이 극히 낮아진 상태이다. 일본에서는 일부기업이 2014년부터 엔저를 배경으로 15-20% 가격 인상을 실시했지만 중국제품 수급에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수요기업 가운데에는 선매제도를 채용하는 곳도 있기 때문에 가격인하 경쟁이 극심해 생산기업들의 채산성도 날로 악화되고 있다. 수요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앞으로 공급을 지속하기 위해서도 가격개정이 불가피해지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가격 교섭을 진행해 2014년 내에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 표,그래프: <중국의 구연산 생산능력> <화학저널 2014/12/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공급과잉 우려에 “하락” | 2025-10-01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①, 에너지 위기에 공급과잉 생존전략 수립 서두른다! | 2025-09-26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