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쟁력, 컴파운딩 기술력이 좌우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는 베이스레진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면서 원료의 안정적인 조달능력과 컴파운딩 기술력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BT는 베이스레진 외에도 첨가제 비중이 높고 어떤 첨가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생산기업마다 차별화돼 있다. 베이스레진 외에도 난연제, 윤활제, 내충격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등 30가지에서 최대 100가지의 첨가제를 수입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산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 관계자는 “컴파운드 기술력은 말 그대로 개별기업의 레시피(Recipe)에 따라 결정된다고 생각하면 된다”며 “같은 PBT 컴파운딩이라 할지라도 생산기업에 따라 사업 초기부터 축적해온 첨가제 사용방법이 각양각색”이라고 강조했다. 표, 그래프: <PBT의 기본 특성> <화학저널 2015년 8월 3일/10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EP/컴파운딩] 사빅, PBT로 전기자동차 부품 보호 | 2025-08-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금속화학/실리콘] 실리콘 ②, 고부가화가 경쟁력 원천 일본, 기술개발 선도한다! | 2025-10-31 |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