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고분자 다중 나노점 기술 개발 … 효율 10.74%에 접합도 향상
화학뉴스 2015.12.24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나타내는 유기태양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경북대학교 김영규 교수팀이 유기태양전지의 전자 수집층에 나노미터 크기의 점들을 형성시키는 <고분자 다중 나노점>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2월23일 발표했다. 유기태양전지는 유기 반도체를 광 활성층으로 삼는 태양전지로 광 흡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간단해 주목받고 있으나 양전하 수집층으로 주로 쓰이는 물질이 높은 산성을 띠어 안정성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연구팀은 역구조형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금속산화물 전자 수집층 위에 고분자 페오즈(PEOz) 용액을 특정 농도로 코팅해 고분자 다중 나노점이 형성되도록 했다. 고분자 다중 나노점이 형성되면 전자의 수송 능력이 향상되고 유기 반도체와 금속산화물의 접합면적도 넓어져 더 많은 전하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김영규 교수는 “고분자 다중 나노점을 적용한 태양전지는 단일층 유기태양전지로는 세계 최고 수준인 10.74%의 효율을 달성했고 기존 소재보다 우수한 접합 특성을 보여 유기태양전지 소자의 수명 향상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분자 다중 나노점을 적용한 유기태양전지는 기존의 금속산화물 코팅 물질보다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저렴할 뿐만 아니라 효율이 높아 유기태양전지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12월14일자에 게재됐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및 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K> <화학저널 2015/12/2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LG화학, 세계 최대 CCU 실증 착수 | 2025-08-14 | ||
[EP/컴파운딩] 킹파, 세계 컴파운드 시장 삼킨다! | 2025-06-18 | ||
[폴리머] 보르쥬, 폴리올레핀 세계 4위 부상 | 2025-05-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차열페인트, 세계적 폭염 타고 수요 증가 다기능화·차별화를 추구하라! | 2025-08-01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