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스틱은 kg당 1달러 미만 혹은 내외에 거래되는 폴리올레핀 및 Styrene 레진 등 범용폴리머와 이보다 고기능성 수지로 kg당 2-4달러대를 형성하고 있는 엔지니어링 플래스틱, 그외 경기사이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10달러 이상의 고급 수지인 고기능성 EP 세가지로 분류된다. S-EP 고기능 EP에는 6-7달러대를 형성하고 있는 PPS가 편이상 포함되고 그외에 LCP, Sulfone계 수지, PEEK, PI 등이 대표적인데 이를 5대 Super Enpla라고 부른다. PPS(Polyphenylene Sulfide) 국내시장 규모는 베이스레진 및 컴파운드를 포함 1997년 1200톤까지 증가했으나 1998년 1100톤으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당초 SK케미칼이 1000톤 규모로 베이스레진을 생산했으나 1997년 상반기의 화재로 인한 생산중단 이후 생산을 포기하고 일본 Tophren에서 수입해 레진 또는 컴파운드해 판매하고 있다. SK케미칼은 정책적으로 PPS에서 CHDM을 원료로 하는 PETG로 무게중심을 옮겨 공격적인 점유율 확보에서 한발 물러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1998년 PPS 시장점유율은 SK케미칼 23%를 비롯해 Phillips가 18%이고, 나머지는 Tosoh 등 일본 메이커들이 차지하고 있다. 표, 그래프 : | 5대 Super EP 공급현황 | PPS 시장점유율(1998) | 5대 Super EP 국내시장(1999) | PPS 국내수요 | PPS 수요비중(1998) | Polymer 등급현황 | PEEK 국내수요 | PEEK 수요비중(1998) | 세계 ETP 시장변화 | 중국의 EP 생산전망(2000) | ETP 소비전망 | 서유럽의 ETP 수요비중(1996) | <화학저널 2000/4/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사빅, 특수 필름으로 고전압 대응 | 2025-09-02 | ||
[EP/컴파운딩] 특수EP, 글로벌 34조원 성장한다! | 2025-08-27 | ||
[환경화학] LG화학, 세계 최대 CCU 실증 착수 | 2025-08-14 | ||
[EP/컴파운딩] 킹파, 세계 컴파운드 시장 삼킨다! | 2025-06-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페인트/잉크] 차열페인트, 세계적 폭염 타고 수요 증가 다기능화·차별화를 추구하라!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