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VDF(Polyvinylidene Fluoride)는 상용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수입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한국화학연구원은 2차전지와 태양전지의 필수 소재로 쓰이는 PVDF 제조공정 기술을 켐트로스에게 이전했다고 3월13일 밝혔다.
이전기술은 불소수지의 일종인 PVDF를 제조하는 공정기술이다.
PVDF 제조공정은 원료로부터 열분해 반응 및 정제공정을 거쳐 VDF 단량체를 만드는 1단계, 단위분자인 VDF를 결합하는 중합공정을 통해 고분자 수준의 PVDF를 만드는 2단계로 구성돼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진은 VDF를 생산하는 단위분자 제조공정과 해당 공정을 활용해 PVDF를 만드는 고분자 제조공정을 모두 개발했다.
특히, 원료로부터 VDF를 생산하는 열분해 기술에서 열분해 반응 전환율 99.5%, VDF 순도 98.5%, 정제된 VDF 순도 99.97% 등 세계 최고 상용기술과 동등한 결과를 얻었다.
다시 말해 불순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미국·일본·독일은 열분해 전환율 98%, VDF 순도 95-98%를 기록하고 있다.
또 VDF 제조기술을 토대로 동일규모 PVDF를 만들 수 있는 공정도 개발했으며 이미 국내에 후속 PVDF 가공 및 조립산업이 활성화돼 있는 만큼 사실상 PVDF 자급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PVDF는 내후성, 내오염성 등이 우수해 2차전지 양극재, 태양전지 필름, 취수장 분리막 등 산업 전반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제조공정 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벨기에 솔베이(Solvay), 프랑스 아케마(Arkema), 일본 쿠레하(Kureha) 등이 시장을 독과점해왔다.
양 기관은 기술이전을 통해 국내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며 국내 PVDF 수입량은 4000톤, 수입액이 1000억원에 달해 수입 대체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