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기업들이 세금 납부 기한 연장을 요청하고 있다.
정유기업들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1분기 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했고 2분기에도 타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정부가 상반기 유예했던 대규모 원유 관련 세금들을 대부분 7월 말 납부해야 해 세금을 추가 유예하거나 분할납부를 허용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에 따른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교통·에너지·환경세(국세청) 4월분을 7월 말로 납부 유예했고 4-6월분 석유 수입 부과금(산업통상자원부)은 각 3개월씩 연장했다.
원유 관세와 수입부가세(관세청)는 3월 납부분을 5월 말로, 6-8월분은 각각 3개월씩 미루었다.
이에 따라 SK이노베이션(SK에너지·SK인천석유화학),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에쓰오일 등 정유 4사는 1조4000억원에 달하는 4월분 교통·에너지·환경세와 월 400억원의 4월 석유 수입 부과금 유예분을 7월 말까지 납부해야 한다.
정유기업들은 앞서 유예받은 4월분 세금과 7월 발생한 세금까지 한꺼번에 납부해야 해 부담이 크고 코로나19 쇼크로 유동성 위기에 놓여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정유기업들의 수익성을 판가름하는 정제마진이 크게 개선되지 않으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싱가폴 정제마진은 3월 셋째주 마이너스 전환 이후 14주만인 6월 셋째주 배럴당 0.1달러로 플러스 전환했으나 7월 둘째주 다시 마이너스로 떨어졌다.
정제마진은 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수송·운영비 등 비용을 뺀 것으로 4달러는 돼야 수익을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유기업들은 개별기업 차원에서 국세청 등에 세금 납부 추가 유예를 건의하고 있다.
일시 유예가 어렵다면 분할납부 등을 허용해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나 정부는 세수 부족을 우려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정유기업들은 정유산업이 정부의 기간산업안정기금 지원 대상에 포함됐지만 세금 유예가 더 절실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석유 판매가 급감한 상황에서 일부기업들은 세금 납부를 위해 회사채까지 발행하고 있다”며 “정부의 추가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지역 관세청은 현재 정유기업들과 9-11월분 관세의 추가 유예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울산세관은 최근 SK에너지의 9-11월 원유 관세를 12월15일까지 유예해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