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화학 메이저 바스프(BASF)와 글로벌 니켈 메이저인 러시아 노릴스크니켈(노르니켈), 핀란드 에너지기업 포텀이 핀란드 서부 하르야발타에 LiB(리튬이온배터리) 재활용센터를 건설한다.
사용 후 교체된 전기자동차(EV)용 LiB에서 니켈, 코발트, 리튬, 망간 등 핵심소재를 추출해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바스프는 사용 후 배터리를 재활용함으로써 전기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너지 컨설팅기업 서큘러에너지스토리지에 따르면, 2030년 세계적으로 재활용되는 사용 후 LiB는 12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도 2025년 LiB 재활용 시장이 122억달러(약 15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2012년 전기자동차 생산기업 테슬라가 모델S를 내놓은 지 10년이 되는 2022년을 전후해 전기자동차에 사용된 대용량 배터리가 대량으로 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용 후 배터리를 폐기하면 환경오염 우려가 크고 배터리에 남은 자원을 재활용하면 배터리 원가를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 배터리는 충전능력이 초기용량의 70% 이하로 감소하면 주행거리가 줄어들고 충전속도가 길어져 전기자동차 용도로 사용하기 어려워 교체해야 하지만, 폐배터리에는 중금속과 화학물질이 남아 그대로 폐기하면 환경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배터리 재활용은 배터리를 분해해 코발트, 리튬 등 핵심 소재를 추출하는 재활용(Recycling) 방식과 남은 전력을 다른 용도로 재사용(Reusing)해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로 활용하는 2가지 방식이 있다.
바스프 등 글로벌 화학기업들은 사용 후 배터리에서 핵심 원료를 추출하는 재활용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바스프는 하르야발타에 전기자동차 배터리 소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어 추출 소재를 신규공장에 공급할 계획이다. 코발트 등 핵심 소재를 재활용함으로서 배터리 원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성일하이텍이 선두를 달리고 있다.
성일하이텍은 전기자동차, 노트북, 스마트폰 등에 사용된 배터리를 회수해 코발트, 니켈, 망간, 리튬 등을 회수한 뒤 다시 2차전지 원료로 투입하고 있다. 성일하이텍은 미국, 중국, 말레이, 인디아, 헝가리 등 해외공장도 가동하고 있다.
GS건설과 SK이노베이션도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뛰어들었다.
GS건설은 2019년 7월 포항이 배터리 재활용 규제 특구로 지정된 이후 대기업으로는 처음 1000억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건설 부문에서 화공 엔지니어들의 기술력을 활용하기 위해 새로운 시장에 진출했다. 에코프로GEM 역시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도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기업들과 협력해 폐배터리에서 소재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해 관련사업에 진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