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관련기업들이 정부의 K-배터리 발전전략을 환영하고 있다.
특히, 산업계의 강력한 요구사항이었던 차세대 2차전지 관련 연구개발(R&D) 지원과 인력 양성 내용이 포함된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부는 K-배터리 발전전략을 통해 2027년 전고체전지, 2025년 리튬황전지, 2028년 리튬금속전지 등 차세대 2차전지를 조기 상용화하겠다는 목표 아래 민간과 함께 대규모 R&D에 착수하기로 했다.
민간기업들이 2030년까지 차세대 2차전지 R&D에 20조1000억원을 투자하며, 정부는 핵심 타깃제품을 대상으로 시장 맞춤형 대규모 R&D를 지원할 예정이다.
차세대 2차전지에 사용되는 핵심 요소기술 개발에 나서 양극재·음극재·전해질·분리막 외에 고체 전해질과 리튬금속 음극재, 리튬황 양극재 등 7대 차세대 소재를 선정해 원천기술 개발 지원을 늘릴 계획이다.
기존 LiB(리튬이온전지)는 성능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R&D를 추진해 1회 충전당 주행거리를 450km에서 600km 이상으로, 충‧방전 횟수를 500회에서 1000회 이상으로 늘리고 섭씨 45도 이상의 고온 신뢰성을 갖추도록 성능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 실리콘(Silicone) 음극재 등 소재를 개발하고 위험요인을 자가 감지·억제·치유하는 지능형 2차전지 개발에도 나서기로 했다.
2차전지 공급망 강화를 위해서는 새로 출범하는 광해광업 등 공공기관의 노하우를 활용해 민간기업의 해외 소재 광물 개발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고 수요기업 등이 참여하는 2차전지 공급망 협의회를 신설해 운용할 계획이다
수급 우려 품목인 코발트의 비축량을 2-3배 확대하는 등 희소금속 비축 확대도 검토해 관련 내용을 정부가 7월 말 이전에 공개하기로 했다.
원료를 다시 확보할 수 있는 2차전지 재활용 관련 기술 개발과 설비 건설도 추진한다. 재활용 소재 공급량을 2020년 전기자동차(EV) 6만대에 공급했던 수준에서 2030년 60만대로 확대하고 친환경 LiB 재활용 기술개발 실증센터를 구축해 재활용률을 높일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전례 없이 급성장하는 배터리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배터리 및 공정에 관한 차별화된 기술 확보와 소재부터 완제품까지의 밸류체인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면서 “정부가 국가 차원의 대규모 R&D 지원 및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 것은 한국이 차세대 배터리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타이밍이 다소 지체됐지만 정부가 국내 배터리산업 육성을 위해 전문인력 양성과 투자 인센티브 등 지원책을 내놓은 것은 긍정적”이라며 “탁상행정, 전시행정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만, 자원개발 대책에 대해서는 아쉽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류성원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전략팀장은 “해외자원개발은 실제 소재로 채용하기까지 장기간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정부가 정권의 성향과 관계없이 해외자원개발 문제를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고충을 적극 지원해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