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스트레일리아와 저탄소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8-9일 오스트레일리아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와 제30차 에너지자원협력위원회를 화상으로 개최했다.
한국-오스트레일리아 에너지자원협력위원회(실장급)는 양국간 에너지·광물자원 분야 공식 협력회의체이며 1980년부터 정례적으로 열리고 있다.
최신 회의에서는 한국의 2050년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저탄소 기술 성명서 등 양국의 에너지 정책 현황을 공유하고 저탄소 기술, 핵심 광물, 천연가스 등 에너지·자원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오스트레일리아가 한국에 청정수소와 암모니아(Ammonia),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그린철강 등 저탄소 기술 관련 공동 연구개발(R&D) 추진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저탄소 기술 파트너십 구축을 제안함에 따라 조만간 실무 차원의 협의와 검토를 거쳐 구체적인 협력 분야를 도출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양국 협력이 광물, 천연가스 등 전통적인 자원 분야 뿐만 아니라 수소,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장치(ESS), CCUS 등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미래지향적 분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양국은 탄소중립 및 청정에너지 전환 등에 따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니켈·리튬·희토류 등 희소금속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실무차원의 핵심 광물 협력 대화를 진행하며 공동 자원개발 프로젝트 및 R&D 과제를 발굴하는 등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오스트레일리아는 한국의 제2위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이며, 안정적인 LNG 수급을 위해 상호호혜적 투자와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한국은 2020년 기준 오스트레일리아산 LNG를 약 797만톤을 수입했고 전체 수입량 기준 19.9%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곧 마련할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토대로 산업·수송·에너지 등 분야별 세부 실행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저탄소 기술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며 에너지·자원 분야 주요 파트너인 한국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