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출공정은 플래스틱의 성능을 좌우하는 압출기 설계와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화학경제연구원(원장 박종우)이 2021년 12월16일 주최한 폴리머교육(Ⅱ) - 슈퍼EP 소재 및 가공 기술에서 좋은솔루션 장도훈 대표는 플래스틱 및 압출공정의 이해와 응용 발표를 통해 “플래스틱 혼합(Mixing)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2가지 요인은 분배(Distributive Mixing)와 분산(Dispersive Mixing)”이라며 “성능과 특성에 따라 혼합기(Mixer)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머독형 스크류 압출기는 광택을 향상시키고 Dispersive Mixing에 극대화된 혼합기로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PVC(Polyvinyl Chloride), 시멘트 공정에는 Dispersive Mixing이 요구돼 서로 다른 물질이 만나 힘이 발생하는 Intermeshing-Counter Rotating 혼합기를 선택하고 있다.
고무 등 공정에도 Distributive Mixing이 요구되며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Non-Intermeshing-Counter Rotating 혼합기를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파악된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2축 스크류압출기(TSE: Twin Screw Extruder)는 분산과 분배에 모두 적절한 장점을 갖춘 Intermeshing Co-rotating TSE와 Intermeshing-Counter Rotating TSE를 사용하고 있다.
플래스틱 생산기업의 약 90% 이상이 채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도훈 대표는 “Intermeshing Co-rotating TSE에서 실제로 폴리머가 녹는 파트는 배럴(Barrel)의 가열 부분이 아닌 마찰(Frition)”이라고 강조했다. (최해준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