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은 2차전지 관련기업 유치를 확대하고 있으나 전력 부족이 우려된다.
포항 영일만 일반산업단지와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는 일반 제조업을 고려해 전력 공급계획을 세웠으나 2차전지산업은 일반 제조업보다 전기 소모가 5배 정도 많기 때문이다.
영일만 산업단지는 2차전지 산업 활성화에 따라 2024년 입주기업 필요 전력이 461MW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 송전선로와 변전소로 2024년까지는 감당할 수 있으나 2026년부터 전력 수요가 급증함으로써 전력 부족이 극심해질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까지 포항시와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한 2차전지 관련기업들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추가로 전력이 필요하다고 요청한 전력은 298MW로 추가 용량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한전이 계획한 송전선로와 변전소 건설을 앞당겨야 하나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은 2028년 10월까지 240MW의 송전선로와 변전소 건설을 계획하고 있으며 경상북도가 2026년까지 조기 건설을 협의하고 있으나 송전선로에 대한 주민 수용성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송전선로 조기 건설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주민 수용성”이라며 “상황에 따라 2028년보다 당길 수도 있고 더 늦추어질 수도 있는 등 유동적”이라고 강조했다.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역시 변전소 용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경상북도와 포항시는 당초 산업단지 2단계 준공 시기인 2025년 입주기업 필요 전력이 349MW일 것으로 예상했으나 추가 필요 요청이 들어오면서 총 전력수요는 533MW로 늘어난 상태이다.
하지만, 현재 전력 공급능력은 240MW에 불과하기 때문에 경상북도는 한전이 2027년 말 계획하고 있는 240MW 변전소 건설을 일정을 2025년으로 앞당기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그러나 공사를 앞당겨도 2차전지 생산기업들의 추가 투자 가능성을 고려하면 전력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할 수 있어 추가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경상북도는 입주기업이 전력 수요를 신청한 후 공급까지 2년 정도 걸리므로 실제 필요한 정확한 전력을 한전에 신청하고 불입금을 납부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산업단지를 만들 당시 2차전지 입주기업이 늘어날 것이라는 가정을 하지 못했다”면서 “일반 제조업보다 월등히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는 2차전지산업이 급부상하면서 전력 공급부족 문제가 불거졌다”고 설명했다.
경상북도는 필요 전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송전선로 건설, 주민 수용성 확보 등 문제 해결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 포항시, 입주기업, 한전 등과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영일만 산업단지는 4단계까지 추진 중이나 공장 신증설 발표가 이어지면서 현재 분양률이 93%에 달하고 있고, 2단계로 나누어 조성하고 있는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용지도 1단계 약 60%, 2단계는 약 50%가 분양된 상태로 문의가 꾸준해 곧 10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윤화 책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