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REACH 대응에 고부가화 주력” 일본은 제조업을 둘러싼 경제환경이 계속되는 디플레이션, 높은 실업률 등으로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으나 2003년에는 국내총생산의 실질성장 및 광공업 생산이 증가해 완만한 수준이나 회복세를 보였다.2003년에는 차입금이 줄어드는 동시에 개혁·구조조정에 따른 특별손실이 감소하는 등 자구노력에 의해 체질이 개선되고 매출이 늘면서 수익성 또한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제조업의 체감경기도 엔고현상 우려에도 불구하고 대폭적인 개선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기존의 구조조정 방식을 전환해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의 확충을 통한 고부가가치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화학산업은 출하액이 제조업 전체의 13%인 36조엔, 부가가치액은 16%인 17조엔에 달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범용제품 분야에서 고부가가치 분야인 전자재료, 의료, 바이오 등 기능성 화학제품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소재를 공급함으로써 일본의 제조업 경쟁력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일본 화학산업은 국제환경의 변화를 재빠르게 파악하고 안전문제에 만전을 기하면서 고부가가치화 등 경쟁력 강화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일본 경제산업성은 일본 화학산업의 중장기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사업환경의 정비를 꾀함과 동시에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촉진하는 등 화학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표, 그래프 | 일본의 중국에 대한 화학제품 수출입액 | 에틸렌 유도제품의 국제수급 전망 | 일본의 Focus21형 연구개발 프로젝트(2004) | <화학저널 2004/3/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엔지니어링] 화학산업, 자동화로 현장 혁신하라! | 2025-10-17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유럽 화학산업 ③, 스페셜티 중심 전환으로 글로벌 리더십 회복한다! | 2025-10-17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