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체질강화·R&D투자 시급 에틸렌 생산능력 기준 세계 3위를 자랑하는 국내 석유화학산업이 선진국에 비해 생산유발효과나 부가가치 창출능력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지적됐다.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국내 주력산업 현황 및 고부가가치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매출액에서 자동차, 컴퓨터, 섬유·의류, 통신기기에 이어 5번째를 차지하는 석유화학산업은 1970년대 이후 주력 수출품목으로 부상해 경제성장을 이끌며 현재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넘어가고 있으나 전반적인 산업구조와 내실에서는 여전히 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제품은 자동차, 가전제품, 건축자재, 반도체 등 전자부품, 의약품과 같은 각종 제조업의 소재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세제, 일용제품 등 최종소비재를 공급하는 기간산업으로 특히 20세기 후반에는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일본 화학산업도 국제 비즈니스 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향상된 기술로 추격해오는 한편, 유럽 및 미국 화학기업들은 생산규모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M&A를 통한 사업재편을 거듭하고 있어 「선택과 집중」에 의한 경쟁 우위를 구축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표, 그래프 | 국내 12대 산업의 매출비중 비교(2001)) | 21세기 성장시장의 일본 시장규모 예측 | 제조업의 생산비중 변화 | 일본 화학산업 시장규모 예측(2025) | 제조업의 고용비중 변화 | 한국-일본의 생산유발계수 비교 | 한국-일본의 부가가치유발계수 비교 | 한국-일본의 종업원 1000명당 연구원수 비교 | 주력산업의 신기술 접목방안과 세계시장점유율 전망 | <화학저널 2004/07/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아로마틱] 유동파라핀 ②, 코스트 상승 압박 재점화 고부가가치화로 대응한다! | 2024-11-01 | ||
[백송칼럼] 석유화학의 무리수 | 2023-10-06 | ||
[아로마틱] 유동파라핀, PS용 지고 LiBS용 부상 고부가가치화가 절실하다! | 2023-07-21 | ||
[석유화학] 석유화학의 탄소중립 방안, 유럽, 스팀 크래커 전기화 한국, 수소에 목을 매달다!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