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외국과 비슷한 수준 … 에폭시수지ㆍPC 난연제로 사용 울산화학공단 주변지역의 TBBPA 농도가 외국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방염제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환경과 건강에 유해성이 의심되는 브롬화 방염제 TBBPA의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환경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울산공단의 환경 중 잔류농도가 수질에서는 리터당 0-0.04㎍, 퇴적물에서는 kg당 5.9-90.8㎍, 그리고 생물체에서는 kg당 1.92-5.33㎍으로 외국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외국의 잔류농도는 수질이 0-0.09㎍, 퇴적물은 0-9753㎍, 생물체는 0.1-376㎍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송사리와 저서생물 Hyaella Azteca을 이용한 독성시험에서는 TBBPA가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로 각각 리터당 4㎍, kg당 10㎎으로 산출됐다. 따라서 우리나라 환경 중 TBBPA 농도는 예측무영향농도(PNEC) 이하의 수준이어서 수생생물 및 저서생물 등 환경에 대한 위해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TBBPA(Tetrabromobisphenol-A)는 최근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염제의 원료로 전자제품 및 OA기기 등에 함유돼 있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와 PC(Polycarbonate) 제조와 난연효과를 위한 첨가제로 사용된다. 증기압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첨가제로 사용되면 환경에 방출돼 토양 및 하천저질에 축적될 가능성이 있으며, 간 독성이 잠재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TBBPA는 무색의 결정성 분말로 59%의 불소(Fluorine)를 함유하고 있으며, 화학식은 C15H12Br4O2이고 CAS 번호는 79-94-7, 분자량은 543.92이다. <화학저널 2007/05/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안전/사고] 울산공단, 프로판가스 장시간 누출 | 2014-01-03 | ||
[안전/사고] 울산공단, 폐황산 누출사고 발생 | 2013-09-13 | ||
[환경] 울산공단, 자율적으로 환경오염 감축 | 2012-03-06 | ||
[인사/행사] 울산공단, 울주 쌀 사주기 9년째 | 2011-10-1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전자소재] 중국, TBBPA 시장 장악 “눈독” | 2010-10-2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