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에너지ㆍ환경 지원 강화해야
SERI, 경제개발 투자 편중 … 민간기업 원천기술 개발력 향상 필수 에너지와 환경, 보건 등 공공 부문에 정부의 R&D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삼성경제연구소는 4월6일 <신 성장동력 육성의 비결, 정부 R&D>라는 보고서에서 “지금까지 정부의 R&D 투자는 선진국에 비해 경제개발 목적에 과도하게 치중했다”며 “앞으로는 지구온난화 등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투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에너지, 환경, 보건 등 공공 부문의 R&D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정부는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산업화로 연결할 수 있도록 관련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정부의 R&D 정책은 산업 환경별로 차별화해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산업 주기와 민간기업의 역량에 따라 적절한 지원 정책이 필요한데 신 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바이오산업은 산업 주기가 초기이면서 민간 역량은 미흡하기 때문에 정부가 기술공급자와 시장조성자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기술 개발은 물론 사업화 및 시장 창출까지 고려하는 기획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삼성연구소 관계자는 “민간기업들은 기초ㆍ원천 기술을 상용화 단계로 이끌 역량이 부족하다”며 “정부가 함께 나서 시장 확대를 위한 표준화 방안, 글로벌 진출 전략 등을 동시에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9/04/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배터리, 정부 ESS 사업 “재격돌” | 2025-09-22 | ||
[배터리] 폐배터리, 정부 지원 고작 “1억원” | 2025-07-24 | ||
[산업정책] 정부, 미국에 상호관세 면제 요청 | 2025-04-25 | ||
[산업정책] 정부, 석유화학 재편 불구경한다! | 2025-04-11 | ||
[환경화학] CCU, 정부 지원 아래 핵심기술 개발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