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열매체, 태양열 발전까지 확대
|
ITㆍ전자ㆍ의약에 GTL용 호조 … 일본은 보충ㆍ갱신용 확보 총력 화학저널 2011.07.18
유기열매체는 정밀한 온도관리가 필요한 프로세스에서 필수적인 물질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ITㆍ전자ㆍ의약품, 정밀화학을 비롯해 태양열발전, 태양전지 패널, GTL(Gas to Liquid) 등 친환경 에너지 관련 분야에서도 사용이 늘어나고 있어 전망이 밝아지고 있다. 유기열매체는 리사이클이 가능하며 스팀가열 한계를 초과하는 2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석유화학과 합성수지, 섬유공업 등에서 활발히 채용되고 있다.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와 EG(Ethylene Glycol)를 중합해 생산하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ㆍ수지,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 스타이렌계 수지와 SM(Styrene Monomer), PC (Polycarbonate), PPE(Polyphenylene Ether) 등 고기능 수지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대형 플랜트 신설이 감소하면서 열매체 베이스로 100톤이 넘는 대형 수요처가 줄어들고 있어 열매체 생산기업들은 기존 수요처를 유지함으로써 보충ㆍ갱신용 수요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페인트/잉크] 페인트, 태양열발전 고효율화한다! | 2023-12-05 | ||
| [신재생에너지] BASF, 태양열 전기스쿠터 공동개발 | 2015-03-31 | ||
| [신재생에너지] 코캄, 태양열비행기 배터리 공급 | 2015-03-30 |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태양열 융합발전 최초 개발 | 2014-02-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바이오연료] 태양열, 소비자 신뢰 완전상실 “고사직전” | 2013-08-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