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 차별화 강화해야 살아남는다!
|
메탈로센 PE도 범용화로 가격경쟁 … UHMWPE 활용도 제고해야
국내 PE(Polyethylene) 시장은 생산능력에 걸맞은 차별화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PE 생산능력은 LDPE(Low-Density PE) 141만7000톤, LLDPE(Linear Low-Density PE) 103만6000톤, HDPE (High-Density PE) 254만5000톤으로 총 499만8000톤에 달하고 있다. PE는 수익 창출이 어려워지면서 고기능성제품 생산능력 확대가 가속화돼 범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를 사용한 메탈로센 PE와 UHMWP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E)가 고부가가치제품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유럽·일본 등 선도국가들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아시아에서는 선도적으로 메탈로센 공법을 적극 채용해 PE 생산량의 50% 이상을 메탈로센 PE로 대체하면서 해외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화학저널 2015년 7월 13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에너지정책] GS칼텍스, APEC에서 에너지산업 돌아본다! | 2025-10-28 | ||
| [국제유가] 국제유가, OPEC+ 추가 증산 우려 “하락” | 2025-10-28 | ||
| [에너지정책] SK이노베이션, APEC에서 LNG 비전 주도 | 2025-10-27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합성고무] 특수합성고무, 고부가화·차별화가 생명줄 미국·동남아 수요 개척한다! | 2025-10-24 | ||
| [플래스틱] 라벨, PET 라이너 전환으로 친환경화 | 2025-10-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