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산업용 가스 시장은 공급과잉과 더불어 가격경쟁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부생하는 잉여 가스는 유통을 목적으로 생산된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절반정도에 출하돼 산업용 가스 시장을 어지럽히고 있다. 산업용 가스는 산소, 질소, 수소, 아르곤 등이 범용에 해당하며 파이프라인을 연결해 공급하거나 벌크, 충전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다. 산업용 가스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등 IT, 정유 및 석유화학, 철강, 태양광, 비철금속, 선박 등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기초소재로 경기 및 계절에 크게 좌우되지 않고 있으나 일부 특수가스는 IT 경기의 영향을 받고 있다. 표, 그래프: <산업용 가스 공급방식> <화학저널 2015년 11월 30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가스공사, 일본과 액화수소 동맹 | 2025-09-30 | ||
[안전/사고] LG화학, 인디아 가스 누출 “고소” | 2025-09-26 | ||
[산업용가스] 에어리퀴드, DIG에어가스 인수 | 2025-08-26 | ||
[환경] 정유, 온실가스 감축 노력 “미미” | 2025-08-2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가스정제 사업 개척 적극화…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