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역 화학사고가 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은 2016년 서울·경기·인천지역에서 발생한 화학사고가 22건으로 2015년 48건, 2014년 49건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고 1월10일 밝혔다.
화학사고 사망자는 2014년, 2015년 각 2명에서 2016년 0명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발생한 화학사고 비율은 2014년 47%, 2015년 42%에 달했으나 2016년에는 28%로 크게 줄었다.
수도권은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업의 52%인 2만2000곳이 밀집해 있으며 영세·취약한 사업장이 많아 화학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강유역환경청은 2015년 유독물질 관리업무를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이관받았고 고위험사업장 선별·집중 관리, 대상기업 자율안전관리체계 구축, 인허가 심사강화 등을 추진했다.
한강유역환경청 이석록 화학안전관리단장은 “사업장별 취급물질, 취급시설 위험지수, 주변 인구수를 분석해 위해등급지도(Risk Map)를 구축하고 안심컨설팅 기술 지원으로 영세업자를 특별 관리했다”며 “대·중소기업 화학안전공동체(23개반, 141곳)와 시흥·안산·인천지역 산단 내 자율대응반(38개반 611곳)을 구성해 관리사각지대를 줄였다”고 밝혔다. <배정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