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도시의 열섬현상을 줄이는 도로포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도로포장 분야 특허 출원 중 도시 열섬현상 저감 관련특허 출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2007년 이후 2016년까지 최근 10년간 증가하고 있다.
열섬현상 저감 기술 출원은 240건으로 2007-2011년 전체 도로포장 출원건수 2044건의 11.7%를 차지하는데 그쳤지만 2012-2016년에는 1351건 중 200건으로 14.8%에 달했다.
10년간 열섬현상 저감 도로포장 출원건수 440건 중 출원비율은 중소기업이 50.7%(223건), 개인이 40.0% (176건)로 활발한 반면 정부, 연구소, 대학 등 국가기관과 연구기관 출원은 8.6%(38건)에 불과했다.
저수 및 보수성 포장이 50.4%(222건), 차열성 포장이 33.9%(149건)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식생 블록 등 기타는 15.7%(69건)에 그쳤다.
저수 및 보수성 포장은 포장체에 고흡수성 소재를 포함하거나 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해 물이 머무를 수 있게 하는 기술로, 흡수된 수분 자체로 포장 표면의 온도를 낮추거나 포장체에 흡수된 수분이 증발할 때 발생하는 기화열로 온도를 낮추는 구조이다.
고흡수성 소재로는 주로 유아용 기저귀 및 여성 생리대에 투입되는 SAP(Super-Absolvent Polymer)가 부상하고 있다.
차열성 포장은 태양열이 포장체에 흡수되지 않도록 차단과 반사 성능이 우수한 소재를 포장체에 포함시키거나 윗부분에 코팅해 포장면의 열 흡수를 방지하며 온도를 낮추는 포장이다.
차열성 코팅에는 최근 일본을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차열페인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