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글로벌 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 7월6일 중국산 수입제품 가운데 340억달러 상당의 818개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으며 중국도 보복조치에 나서고 있다.
양국은 빠른 시일 내에 타협점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미국이 중국산 수입제품에 대해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서 결국 무역전쟁으로 번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Montana에서 연설하기 위해 전용기로 이동하던 중 기자들에게 “먼저 340억달러 규모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고 나머지 160억달러 규모에 대해서는 2주 내에 관세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정부는 중국산 수입제품 500억달러 규모를 제재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우선 340억달러에 해당하는 818개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산업진흥책 「중국 제조 2025」에서 중점품목으로 설정하고 있는 전자제품, 첨단기술제품 등을 겨냥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도 미국산 자동차, 콩, 정육제품 등 545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며 보복에 나섰다.
미국은 이르면 8월 160억달러 상당에 대해서도 관세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PE(Polyethylene), PC(Polycarbon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호스 등 화학제품 및 수지제품이 대상이다.
중국도 에틸렌(Ethylene), 프로필렌(Propylene) 등 기초화학제품, 윤활유를 포함한 석유제품 등으로 대항할 방침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화학산업은 양국의 무역전쟁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이 경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세계적으로 복잡하게 얽힌 서플라이 체인이 단절됨으로써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산업은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자동차부품 및 반도체는 코스트가 상승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중국에서는 제재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미국제품이라는 이유로 통관에서 평소보다 오랜 시간 묶어 두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인민은행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이 상호 500억달러의 관세를 부과하면 중국 경제성장률이 약 0.2%포인트 하락할 가능성이 있어 양국의 충돌 장기화는 글로벌 경제에도 막대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중국 정부가 수출을 보호하기 위해 환율을 조절할 가능성이 높으며 급격한 환율 변동에 따라 원자재 가격 등이 상승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다.
또한, 무역전쟁이 조기에 종식되더라도 중국 정부는 통신기기 메이저 ZTE에 대한 제재 등을 교훈 삼아 자급률 향상에 힘을 기울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간접적인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