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Polyimide) 필름은 특허출원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 LG전자, 애플(Apple) 등이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접히는 유리라고 불리는 PI필름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폴더블폰은 접히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글로벌 수요는 2019년 320만대에서 2022년 5010만대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폴더블폰은 접었다 펴야 하는 특성상 커버윈도우, 박막 필름 트랜지스터(TFT) 기판, 베이스 필름 모두에 새로운 소재가 필요하며 투명 PI필름은 다른 소재에 비해 기계적·전기적·화학적 물성이 뛰어나 유리 대체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수십만번을 접었다가 펴도 흠집이 나지 않고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노트북 등에도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PI필름은 최근 5년 동안 특허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4년에는 관련 특허 출원 건수가 60건에 불과했으나 2017-2018년 연평균 약 37% 증가하면서 2018년에는 150건까지 급증했다.
단순히 출원건수만 증가한 것만이 아니라 빠른 기술변화에 따른 특허권 선점 또는 조기확보를 위해 우선심사 신청 비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선심사란 일정한 요건을 갖춘 특허출원에 대해 다른 출원보다 우선적으로 심사해주는 제도를 가리킨다.
출원인은 국내기업이 전체의 60.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기업이 25.3%를 차지하고 있다.
적용대상은 디스플레이 커버윈도우 용도가 116건(24.9%), TFT 기판 및 베이스 필름 용도가 276건(59.2%)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커버윈도우는 폴더블폰의 개발과 맞추어 2016년 이후 출원이 4배 이상 증가했다.
국내외 주요기업들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핵심특허 확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며 앞으로도 동일한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허청 반용병 정밀화학심사과장은 “폴더블, 롤러블(Rollable), 스트레처블(Stretchable) 등으로 빠르게 진화해 나가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의 흐름을 고려할 때 PI필름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며 “시장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 선제적인 소재 분야 핵심특허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