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화수소는 국내 생산능력이 4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9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하이창원 액화 플랜트)을 방문해 간담회를 주재하고 주요 수소 인프라를 점검했다.
간담회는 정부가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한 이후 프로젝트 추진 현황 점검과 산업계 애로 청취를 위해 마련됐다.
액화수소는 기체수소보다 저장·운송 측면에서 우수해 미래 수소경제의 게임체인저로 불리며 수소상용차 보급 촉진, 국가간 대량수소 운송의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두산에너빌리티가 창원, SK E&S는 인천, 효성중공업은 울산에 액화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국내 최초로 4만톤의 상업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능력은 SK E&S가 3만톤으로 가장 크며 효성중공업 5200톤, 두산에너빌리티 1700톤이 뒤를 잇고 있다.
정부는 생산된 액화수소의 유통 인프라 확보와 수요 확대 등을 통해 정책적으로 뒷받침할 계획으로 수소버스에 대해 정부 보조금을 신설하거나 통근·셔틀버스와 경찰버스의 단계적 수소버스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
또 수소 수요 증가에 부응해 액화충전소를 확대 보급하고 규제 개선을 통해 관련기업들의 애로를 해소하는 등 제반 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다.
나아가 액화기술 내실화를 위한 단계별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액화 부품의 검사·인증 기반 구축을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액화수소 기자재·부품 등은 현행법상 규제 대상이나 아직 안전기준이 없어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실증이 진행되고 있다”며 “관련기업들과 긴밀히 협의해 조속히 안전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액화수소 수요처를 수송용 뿐만 아니라 반도체, 자동차 등 산업용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규제 개선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간담회 이후 액화 플랜트, 수소에너지 순환에너지 실증단지, 수소버스용 충전소 등 창원에 있는 주요 수소 인프라를 점검했다.
하이창원 액화 플랜트는 현재 공정율 99.7%로 수소에너지 순환시스템 실증단지는 수소에너지의 모든 주기를 집적화한 세계 최초의 실증단지이다.
코하이젠 수소버스용 충전소는 상반기 준공되면 국내 최초로 수소버스 셀프충전이 가능해진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