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대표 박상규)이 전기‧전자 관련 소재에서 유해물질을 직접 시험한다.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은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 국제공인시험기관 자격을 인정받았다.
RoHS는 유럽연합(EU)이 2006년 전기·전자제품에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제정한 국제표준 지침이며,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
원은 납과 수은, 카드뮴, 6가크롬, PBB(Polybrominated Biphenyl) 등 RoHS 10개 유해물질 관련 14개 규격에 대한 공인시험 자격을 획득했다.
전기·전자제품 및 부품 생산기업들은 국제공인시험기관에서 RoHS 준수 기준을 증명받아 생산제품의 무해성을 소비자에게 고지하고 있다.
KOLAS가 지정한 국제공인기관의 RoHS 시험 결과는 국제시험기관인정협력체(ILAC)에 가입한 104개 국가에서 상호 인정되며 국내에서 시험성적서를 받고 수출할 때도 국제적으로 동등한 효력과 공신력을 가진다.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은 공인시험기관 인정으로 RoHS 시험에 대한 국제적 공신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으며 SK지오센트릭과 SK온,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등이 추진하는 플래스틱 리사이클, 첨단소재, 배터리 분리막(LiBS) 등 고부가 화학소재와 차세대 재활용제품의 안전성을 높이고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발맞추어 차별화된 품질 경쟁력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성협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분석솔루션센터장은 “RoHS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획득으로 환경과학기술원의 유해물질 시험 공신력 확보에 SK이노베이션 계열의 환경규제 대응 역량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RoHS 유해물질뿐 아니라 다른 유해물질의 시험능력 또한 인정받도록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