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시장활성화 "먼 길…"
2002년 시멘트 국내수요는 1.2% 증가할 전망이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2002년에는 SOC 예산이 6.0% 증가하고 민간투자사업을 포함하면 13% 수준의 건설투자 증가가 예상되며, 정부의 건설산업 활성화 등 적극적 내수진작 대책이 싱행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시멘트 수입은 국내 공급과잉으로 불필요한 상황이나, 투자시설(인천·광양)을 가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물량 위주로 수입이 주를 이루어져 53.7% 감소할 전망이다. 수출은 세계적 공급과잉에 최근 타이완과의 반덤핑 분쟁으로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감소 폭은 크게 둔화돼 3.0% 줄어들 전망이다. 그러나 시멘트 생산은 국내수요 증가에 따라 3.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1년 시멘트 국내수요는 2000년까지 감소하던 건설투자가 1.7% 증가하고, SOC 예산도 5.6% 늘어나 수요량은 4.2%, 판매액은 13.7% 증가했다. 수입도 물량은 59.4%, 수입금액은 54.8% 증가했다. 시멘트 수출은 세계적인 시멘트 공급과잉으로 경쟁이 치열해 물량 기준으로 2.7% 감소하고 아울러 수출단가 하락으로 금액 기준으로도 16.8% 감소했다. 2001년 시멘트 생산은 물량 기준으로 1.3% 증가에 그쳤으나, 단가상승으로 금액 기준으로는 1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프,도표:<시멘트 수급전망> <Chemical Daily News 2002/01/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건축소재] 시멘트, 글로벌 탈탄소화 가속한다! | 2024-08-12 | ||
[환경] 시멘트,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 2024-07-22 | ||
[리사이클] 석탄재, 시멘트 원료로 재활용한다! | 2023-12-15 | ||
[리사이클] LG화학, 폐플래스틱을 시멘트로… | 2022-06-3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건축소재] 시멘트, 미국·유럽이 탄소중립 선도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