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기간에만 초저황 경유 보급
환경부는 월드컵 기간 중 수도권에 황함량 15ppm 이하 초저황 경유를 보급한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 증기압이 60kPa이하(현 기준 70kPa)인 휘발유를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초저황경유는 서울·인천·수원 등 수도권의 3개 월드컵 개최도시에 2002년 5월부터 2개월간 공급할 예정이며 증기압 기준 강화는 전국적으로 8월까지 4개월간 실시할 예정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용 경유의 황함량기준은 430ppm 이하이나 초저황 경유는 황함량이 15ppm 이하로 거의 제로에 가까운 수준이다. 환경부는 초저황경유를 사용하면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SO2) 97%, 미세먼지(PM10) 5-16%, 탄화수소(HC) 15-24%, 질소산화물(NOx) 2-11%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초저황 경유는 정유기업에서 기존 정유시설을 이용해 원유를 정제 처리하는 과정에서 제한된 물량만이 생산되기 때문에 수도권지역에 2개월간 한시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2001년 5월부터 서울, 수원, 인천에는 하루 2만7700배럴(2001년 주유소 판매량 3만2200배럴의 86%), 2개월 동안 총 170만배럴의 초저황 경유가 공급된다. 월드컵에 대비해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초저황 경유 공급은 SK, LG-Caltex정유, 현대정유, S-Oil 등 정유4사와 환경부의 합의로 이루어졌으며, 일반 소비자들은 기존 경유와 동일한 가격에 초저황 경유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월드컵대회 이후 빠른 시일 안에 정유사의 시설을 개선토록 해 황함량이 적은 초저황 경유를 의무적으로 보급토록 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휘발유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2001년 5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전국적으로 증기압이 60kPa 이하(현 기준 70kPa)인 휘발유를 공급하기로 정유 4사와 합의했다. 휘발유 증기압을 70kPa에서 60kPa로 낮추면 배출가스 중 탄화수소(HC)와 일산화탄소(CO)를 각각 4%, 9%씩 저감할 수 있고, 휘발유 주유과정에서 발생되는 증발 탄화수소(HC)도 34% 줄일 수 있어 하절기 오존오염 저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hemical Daily News 2002/02/2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코베스트로, 월드컵 축구공용 PU를… | 2018-07-04 | ||
[합성섬유] 휴비스, PET 재활용 “월드컵 특수” | 2010-06-11 | ||
[화학경영] Lanxess, 월드컵 화학제품 “축제” | 2010-06-1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염료/안료] Lanxess, 월드컵 화학제품 “눈길” | 2010-06-21 | ||
[EP/컴파운딩] Lanxess, 2010월드컵에 PA 6 공급 | 201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