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화학산업 중심지 성장 ◆ 싱가폴 화학산업은 2001년 바닥을 친 후 2002년부터 반등하기 시작해 최근까지 강세를 지속함으로써 회복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2003년 상반기 싱가폴의 석유화학 제품 생산량은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03년 1-6월 특수화학제품 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화학제품 생산량이 2.7% 감소했으나 싱가폴 화학산업은 여전히 다른 분야를 능가하고 있다. ◆ 싱가폴 통상산업부에 따르면, 2003년 상반기 미국-이라크 전쟁 및 아시아의 SAR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확산으로 싱가폴의 화학제품 생산량이 감소했으나 3/4분기 이후 싱가폴 경제가 상당히 호전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2003년 5월31일 보범적인 SARS 방제활동을 보여준 싱가폴을 SARS 위험지역에서 해제했다. 이후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도 SARS가 진정됐다. 2002년 화학제품 생산액 179억달러 ◆ 최근에는 Jurong Island 컴플렉스에서 여러 석유화학 플랜트가 가동됨에 따라 싱가폴 화학산업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 2002년 싱가폴에서는 총 10개의 화학제품 플랜트가 가동됐는데, 가장 큰 규모의 플랜트는 Ellba가 5억달러를 투자해 건설한 Propylene Oxide-Styrene 플랜트이다. Ellba는 Shell Chemicals과 BASF의 50대50 합작기업이다. 표, 그래프 | 싱가폴의 석유화학 및 특수화학 생산지수 | 싱가폴 화학산업의 외국투자기업 | <화학저널 2004/2/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MTBE, FOB Singapore 톤당 210-230달러 | 2001-11-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Singapore(II) | 2003-11-17 | ||
[산업정책] Singapore(I) | 2003-11-10 | ||
[백송칼럼] Singapore | 200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