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kg당 2달러 수준으로 상승 … 가동중지 설비 재가동 관심 일본에서 취소계 난연제인 TBBPA(Tetrabromo Bisphenol A) 수급이 악화돼 출하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15-20주에 달하고 있으며 가격도 계속 상승해 kg당 2달러를 웃도는 수준에 육박하고 있다.지금까지 가격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신설이나 증설에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당분간 가동중지 설비의 재가동이 수급악화를 완화시키는 열쇠가 될 전망이다. 일본의 TBBPA 수요는 적층판용을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2003년 후반 이후 증가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TBBPA가 적정가격 수준에 달하지 못함으로써 신규투자 프로젝트 실현도 늦춰지고 있어 수급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출하하기까지 2-3주 걸리지만 15-20주로 늦춰진 상태로 현재의 수급상태가 지속되면 극단적인 공급부족 해소는 어려울 전망이다. 수급환경 악화에 따라 TBBPA 가격이 계속 올라 2004년 들어서도 2월, 4월, 7월 인상됐다. 특히, Great Lakes Chemical은 원료나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고 장래도 불투명하기 때문에 장기계약에 따른 현재 가격을 유지할 수 없게 됐다고 판단하고 기존계약에 관계없이 수주별로 가격을 결정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다. 다른 공급기업들도 9월부터 가격을 인상하는 등 가격인상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고, 가격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한 GLC 외에도 출하까지의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에 출하 때 가격을 결정하는 사레가 늘고 있다. 가격은 kg당 2달러를 웃도는 수준에 달하고 있다. 2.50달러가 재투자를 위한 적정가격 수준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원료가격 급등과 시장 불안정으로 설비투자 의욕은 침체돼 있다. <화학저널 2004/10/1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페놀, 감산에 공급부족으로 올랐다! | 2025-05-23 | ||
[합성고무] 천연고무, 공급부족으로 소폭 상승 | 2015-12-11 | ||
[식품소재] 스테비아, 중국 공급부족으로 “폭등” | 2015-07-21 | ||
[천연가스] LNG, 2020년 공급부족으로 전환 | 2014-06-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퍼스널케어] 천연원료, 원료 공급부족으로 강세현상 | 2018-03-0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