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생산 3000톤에 수요 3000톤 …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여전 중국의 p-HBA(p-Hydroxybenzaldehyde) 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중국의 p-HBA 생산능력은 2004년 4000톤, 생산량은 3000톤으로 2005년에는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생산량이 3500톤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서는 20개 이상의 생산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메이저로는 Suzhou Longshun, Shouguang Tianchen Chemical, JinTian Enterprises, Yixing Junda Chemical Plant, Liaoning Xinmin Organic Chemical Plant, Nanjing Jingmei Chemical, Shandong Zibo Dahua Chemical, Shandong Chunguang Chemical, Daqing Sanan Industry, Huzhou Jiacheng Petrochemical, Sino Genius Fine Chemicals 등을 꼽을 수 있다. 수요는 2004년 3000톤으로 Jiangsu와 Zhejiang 지역의 수요가 1000톤을 차지했으며 용도별로는 의약품 제조에 2000톤, 농약 제조에 300톤이 소비됐고 액정 디스플레이 소재 부문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약 부문에서는 Metopycide, Amoxicillin, Trimethoxybenzaldehyde, p-Hydroxybenzalglycine, Esmolol 등의 항생제 및 고혈압(Hypertension), 고지혈증(Hyperlipemia), 심혈관(Cardiovascular) 질환, 피부병, 눈병 등의 치료제 제조에 p-HBA를 활용되고 있다. 농약 부문에서는 p-HBA의 Halogenated Compound를 이용해 Dichlobenil과 Bromoxynil 등의 제초제 및 중간제품인 4-Hydroxy-3,5-Diiodocyanobenzene을 제조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30여개의 제초제 메이커들이 비호르몬 제재인 Dichlobenil과 고기능성 제품인 Bromoxynil을 생산하고 있다. 향료 부문에서는 Anisaldehyde(p-Methylbenzaldehyde) 및 Vanillin, Ethyl Vanillin, Piperonal, Anisalcohol, Syringaldehyde 등의 제조에 활용되며 중국에서는 Anisaldehyde의 p-HBA 소비비중이 가장 높다. 식품첨가제 부문에서는 p-HBA와 병산되는 p-Hydroxybenzoic Acid 및 Ester가 간장, 식초, 청량음료 등의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소재 부문에서는 4-Isopropyl-4-Cyanodiphenyl 및 1,2-Di(2-Cyanophenoxy) Ethane 등의 액정 Compound 소비가 1990년대부터 급증하고 있으며 가장 전도유망한 수요처로 각광받고 있다. 염료 부문에서는 고급용지, 팩스용지, 심전도(Electrocardiogram) 및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기록용지 등 특수용지에 사용되는 무색 합성염료 및 Photographic Emulsifier 등의 제조에 활용되며 화장품 부문에서는 화장품의 감염과 오염을 방지하는 3,5-Dichloro-4-Hydroxybenzaldehyde의 제조 원료로 사용된다. 다만, 중국의 p-HBA 품질은 선진국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어 연구개발(R&D) 투자확대가 절실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p-HBA 생산공법에는 페놀(Phenol)을 원료로 하는 프로세스와 p-Cresol을 원료로 하는 프로세스가 있는데 중국에서는 주로 전통적인 페놀 프로세스를 채택하고 있어 환경오염이 심하고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p-Cresol 프로세스가 페놀 프로세스를 대체해 생산량과 품질이 향상되고 환경오염을 크게 줄였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발효 공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1990년대 Jilin화학공과대학, Tsinghua대학, Yanshan Petrochemical, CAS Dalian Institute of Physics & Chemistry, Shandong대학이 p-Cresol 프로세스를 개발해 기술의 진보를 이루었지만 여전히 선진국과의 기술격차가 커 고급제품의 수입의존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저널 2006/04/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다운스트림도… | 2025-10-02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석유화학] 중국, 에틸렌 1억톤으로 확대한다! | 2025-10-02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