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무기 규제 대응책 모색 시급
지난해 UN에서 의결, 한국 등 137개국이 서명한 화학무기금지협약이 오는 95년1월부터 발효될 경우 규제물질을 원료로 한 1차제품 약 3100억원 상당의 생산에 지장을 주는 등 파급영향이 막대할 것으로 분석됐다. <화학저널 1993/7/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폐플래스틱,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시급하다! | 2025-10-15 | ||
[배터리] 배터리, 유럽 규제 완화 경계하라! | 2025-09-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수처리약품, 일본, PFAS 규제 기대 코스트 상승으로 무산… | 2025-10-17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계면활성제] PFAS, 전면규제 시행 늦어진다!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