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지역에서 면을 비롯한 천연섬유의 수요가 증가해 공급부족현상이 나타나자 미국·유럽 화학기업들은 아시아지역 합성섬유 공장 신증설을 급격히 추진하고 있다. Textile Intelligence에 따르면, 섬유부문에서 가장 유망한 투자지역은 중국으로, 20년전에는 한국 및 대만이 섬유부문 투자의 주를 이루었으나 공업국가로 발전함에 따라 섬유보다는 전자 등 고부가산업으로 이전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섬유부문에 있어 동남아지역의 수출 주도국가가로 급부상하고 있다. 중국은 섬유 수요증가 및 가격인상에 대비해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는데, 중국 최대의 폴리에스터섬유 생산기업인 Yizheng Chemical Fiber는 Jiangsu에 PTA 25만톤 공장을 건설했다. 또 Xinjiang의 7만5000톤 공장도 완공했으며, Liaoning에 건설중인 22만5000톤 공장은 97년초, Amoco와 합작으로 Zuhai에 건설중인 25만톤 공장은 97년말 완공 예정이다. 중국의 섬유 수출은 90년대 들어 연평균 4% 증가했으며, 의류 수출은 21% 신장하는 놀라운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어 세계 5대 의류 수출국가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최대 합성섬유 플랜트 및 설비 공급기업인 스위스의 EMS Inventa는 전세계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등 합성섬유 제조기업에게 230개의 플랜트를 공급했다. 표, 그래프 : | 중국의 합성섬유 자급현황 | 중국의 주요 폴리에스터 생산기업 | 중국의 Acrylic 수입실적(1996) | 중국의 Polyester 수입실적(1996) | 중국의 섬유 생산점유율 | 중국의 섬유 생산비중(세계시장 대비) | <화학저널 1997/8/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SM, 아시아 강세에 글로벌 시장도 ‘들썩’ | 2025-11-21 | ||
| [페인트/잉크] 삼화페인트, 산업설비 내화 솔루션 시장 공략 | 2025-11-20 | ||
| [석유화학] M-X, 아시아 시장 상승 흐름 뚜렷해진다! | 2025-11-14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건축소재] 반도체 기술 진화, 반도체 패키징용 고도화 타고 일본이 글로벌 시장 장악한다! | 2025-11-21 | ||
| [배터리] LiB, SK·일본이 리사이클 시장 주도… | 2025-11-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