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독성 관계 이용해 평가 … 저가에 효율적인 영역별 접근도 대두
화학뉴스 2014.02.04
화학물질의 안전성 평가 기술로 정량적 구조활성상관(QSAR) 및 영역별 접근법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화학물질 관리제도는 신규화학물질 뿐만 아니라 기존화학물질도 평가대상으로 포함해 사업자의 평가 작업이 의무화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QSAR 및 영역별 접근법은 동물실험에 비해 코스트가 낮고 더욱 많은 물질을 평가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기 때문이다. QSAR은 이미 알려진 화학물질의 구조적 특징과 독성의 관계성을 이용해 화학물질의 독성 등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로 특정구조 및 물성에서 나타낼 가능성이 높은 독성을 통계학적으로 예상하는 방법이다. 영역별 접근법은 화학구조 및 물리화학적 성질이 유사한 물질을 그룹으로 나누고 일부 화학물질의 독성 데이터를 이용해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다른 화학물질의 유독성을 평가하는 모델이다. 평가항목 전부를 QSAR 및 영역별 접근법으로 평가할 수는 없으나 행정당국에 따른 제도운용, 사업자의 규제대응을 효율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대두돼 세계적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QSAR의 5개 원칙, 영역별 접근법의 화학물질 그룹화 툴을 개발하는 등 신뢰성 향상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국립환경연구소가 QSAR 모델인 생태독성 예측 시스템(KATE)을, 제품평가기술기반기구(NITE)가 영역별 접근법에 따른 생체농축성 예측모델을 개발했다. 정확도 향상에 힘을 기울이고 있어 앞으로 보급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화학저널 2014/02/04>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퍼스널케어] 바스프, 동물실험 대체기술 개발 | 2024-07-16 | ||
[환경] 동물실험 대체시스템 개발 가속화 | 2013-06-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퍼스널케어] 화장품 원료 ②, 나노원료‧동물실험 금지로… | 2015-01-30 | ||
[퍼스널케어] 화장품, 동물실험 전면금지 확산 | 2013-05-31 | ||
[환경] QSAR, 독성관리 솔루션으로 주목 | 2013-04-1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