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Pont, 메가솔라용 방초시트 공급
|
PP 베이스로 투수성‧강도‧안전성 뛰어나 … 20년 이상 방초효과 지속 화학뉴스 2014.03.20
DuPont이 개발한 PP(Polypropylene) 베이스 방초시트
메가솔라는 넓은 지역에 설치하기 때문에 패널에 잡초의 그림자가 깔려 발전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저항 증가로 온도가 200℃ 수준으로 급등해 회로가 열화함에 따라 발화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13년에는 무더위로 잡초가 번성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됐으나 메가솔라를 설치한 지역에서 잡초까지 관리하는 사례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풀을 뽑거나 제초제를 살포하고 자갈을 까는 등 다양한 제초방법이 있지만 효과의 지속성 및 확실성, 코스트, 모듈에 대한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5-15μm의 미세한 섬유를 포인트본딩(Point Bonding)하기 때문이 틈이 벌어져 잡초가 생성되기 쉽고, 직포도 띠 형태의 소재를 엮은 것이어서 잡초가 통과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직경이 40-50μm에 달하는 섬유를 열융착함에 따라 틈이 생기기 어렵고 산, 알칼리에 대한 내성이 높으며 가수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폐콘크리트 파쇄 자갈에서 발생하는 알칼리에도 내성이 매우 뛰어난 강점이 있다. 또 메가솔라는 가장자리에 집중되는 빗방울이 백시트에 수분을 침투시키는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으나 아울러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자를 수 있고 가벼우며 무거운 기기나 자갈을 올려놔도 치명적인 상처가 생기지 않는 특징이 있다. DuPont은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DowDuPont, 3사 분할 본격화 | 2018-02-23 | ||
| [농화학] FMC, DuPont의 작물보호 사업 인수 | 2017-11-0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DowDuPont의 통합전략, 스페셜티 강화 급선회… 석유화학 사업 축소한다! | 2018-04-05 | ||
| [백송칼럼] DowDuPont의 분사가 뜻하는 의미 | 2018-02-23 | ||
| [자동차소재] 자동차 소재 개발전략 ②, DowDuPont·BASF 일본과 소재 개발 주도… | 2017-12-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