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대, 나노막대 길이 조절해 합성 … 태양전지․센서 활용
화학뉴스 2015.03.19
국내 연구진이 3차원 나노구조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한양대는 신소재공학과 박원일 교수, 고려대 박홍규 교수, 한양대 이정민 박사 주도로 저온 액상공정을 활용해 반도체 나노막대의 지름과 길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함으로써 3차원 나노구조체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연구는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Nature Communications 2월17일자로 게재됐다. 연구팀은 저온 액상공정 방법을 활용해 산화아연(Zinc Oxide) 나노막대로 3차원 나노구조체를 합성했으며 해당 과정에서 인접한 나노막대들 사이에 강력한 상호작용이 일어나 나노막대의 성장 속도가 다양하게 변하는 현상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3차원 나노구조체가 기존 전자소자, 광소자의 효율 및 집적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세대 태양전지 및 센서 등에도 다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원일 교수는 “나노소재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이해해 활용하면 정교한 3차원 나노구조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며 “광소자, 바이오소자, 전자소자, 에너지소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5/03/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초미세 나노구조체 전사 기술 개발 | 2014-11-12 | ||
[반도체소재] 반도체 용량 개선 나노구조체 개발 | 2014-10-22 | ||
[나노소재] 나노구조체, 태양전지 응용기술 개발 | 2014-06-18 | ||
[나노소재] 발광효율 4배 향상 나노구조체 개발 | 2014-05-07 | ||
[나노소재] 나노구조, 승화 이용해 3차원 규명 | 2013-11-21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