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CR 생산능력은 1980년대에 57만톤에 달했으나, 이후 소련의 붕괴와 미국의 몇몇기업들이 공장을 폐쇄함에 따라 생산능력이 줄어들고 있다. 세계수요는 총 40만톤으로 전체 합성고무 소비량의 4%를 점유하고 있다. 1998년에도 세계 CR(Polychloroprene Rubber) 시장의 메이저인 DuPont Dow Elastomers가 영국 소재 3만3000톤 플랜트 가동을 중단하고, Bayer이 생산효율화 작업의 일환으로 미국 Houston 소재 2만7 000톤 플랜트를 폐쇄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CR 시장은 가격경쟁이 더욱 치열했다. 1998년 국내 시장규모가 1980년대 중반이후 최저치로 축소됐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시장이 아시아에서는 대만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인식, 미국 및 유럽, 일본 메이저들이 놓칠수 없는 거점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 국 국내 CR 시장규모는 1995년까지 자동차, 가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연간 9000-1만톤 규모를 유지했고 1996년 1만2000톤으로 최대치를 기록했으나 1998년에는 8169톤으로 대폭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환율에도 불구하고 4대 공급사는 수요감소폭 만큼 유입량을 감축했을 뿐 시장점유율 변화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 CR 수입현황 | CR 수요전망 | 중국의 CR 생산능력 및 생산량(1998) | 중국의 CR 생산량(1995) | 중국의 CR 생산 및 수급 | 중국의 CR고무 수입실적 | 중국의 CR 소비전망 | <화학저널 1999/10/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사이엔스코, 설폰 CR 기술 개발 | 2025-10-13 | ||
[합성고무] CR, 도소가 글로벌 3위로 부상 | 2025-09-09 | ||
[리사이클] PCR, 원료 회수‧추적이 핵심 | 2025-09-08 | ||
[환경화학] LG화학, 세계 최대 CCU 실증 착수 | 2025-08-14 | ||
[리사이클] 유럽연합, 플래스틱 병 CR 법제화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