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LG화학과 전기자동차(EV) 배터리부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정의선 수석부회장, 현대·기아자동차 연구개발(R&D) 본부 알버트 비어만 사장, 기획조정실 김걸 사장, 상품담당 서보신 사장, 현대모비스 박정국 사장 등 현대자동차 그룹 경영진이 6월22일 LG화학 오창공장을 방문해 미래 자동차 핵심부품이 될 배터리부문에서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다.
LG 측에서는 LG그룹 구광모 회장, 권영수 부회장, LG화학의 신학철 부회장, 전지사업본부장 김종현 사장, 배터리연구소장 김명환 사장이 참
석했다.
현대자동차 경영진은 LG화학이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장수명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미래 기술과 개발 방향성을 공유했다.
장수명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보다 5배 이상 오래 사용해도 성능이 유지되는 배터리로, LG화학은 개발을 위해 빅데이터와 AI(인공지능) 등을 활용해 축적된 소재 기술을 더욱 강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분석해 최적의 상태로 관리해주는 알고리즘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리튬-황 배터리는 양극재로 황탄소 복합체, 음극재로 리튬금속 등 경량소재를 사용해 무게당 에너지 밀도가 기존 LiB(리튬이온전지)에 비해 2배 이상 높고 희귀금속을 사용하지 않아 가격경쟁력도 뛰어난 배터리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내부 액체 전해질을 고체 전해질로 변경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LG화학은 현재 LiB 양산공정을 활용할 수 있는 타입으로 개발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와 LG그룹 경영진은 미래 배터리 관심 사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 방안을 논의한 후 LG화학 오창공장의 배터리 생산라인과 선행 개발 현장을 둘러봤다.
현대자동차 그룹은 현대‧기아자동차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현대자동차의 코나 일렉트릭, 아이오닉 일렉트릭 등에 LG화학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다.
이밖에 2022년 양산 예정인 EV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의 2차 배터리 공급기업으로 LG화학을 선정하고 성능 확보를 위해 협업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2025년 EV 판매대수를 56만대로 확대해 수소전기자동차 포함 세계 3위로 올라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아자동차는 글로벌 EV 점유율을 2019년 2.1%에서 2025년 6.6%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현대·기아자동차는 세계 최고 성능의 EV에 필요한 최적화된 배터리 성능 구현을 위해 연관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면서 “LG화학 방문은 EV 전용모델에 탑재될 차세대 고성능 배터리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미래 배터리에 대한 개발 방향성을 공유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LG그룹 관계자는 “글로벌 EV 배터리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LG화학은 미래 배터리 분야에서도 게임 체인저가 될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현대자동차와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K)